저자는 이 논문에서 자유. 사회경제적 구조와 운동.권위주의문화, 비합리성, 사머니즘과 그의 변장, 안전 과 사회경제적 성공에 대한 강한 원망, “공존” 과 “ 같이 일함” 의 결여 둥이 한국인의 의식과 행동에 있어서 어 떻게 작용 하고 있는가에 대한 윤곽을 그리려고 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각자가 따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 아니 고 찬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과. 그들 중의 약간은 현대의 한국문화에 있어서 특징적이라 할수 있고 다른 많 은 것들은 세계의 여러 다른 문화에 공통된것이다. 후자라 할지 라도 그들의 작용의 모습은 문화에 따라 다른 것이다. 한국인은 사회경제적인 구조와 발전, 권위주의 문화와 가족제 도둥 때문에 그들의 개 인성 (Individuality) 과 자유를 서구사람둘 보다 훨씬 늦게 발전시켰다. 권위 주의 문화에 있어서는 사람은 그들의 자유와 개인성 을 갖지 못하게 되고 인간관계는 인간의 자유로운 관계에 서 있지 않고 그것은 지배ᅳ피지배적이다. 저자는 인 간이해에 있어서의 사회경제의 구조와 그 운동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사회성격의 이떤 부분은 쉽게 변 과되지마는 어떤 부분은 숙인의 긴 역사를 통해서 변화 되지 않고 남아있다. 저자는 한국인에 있어서 비합리성 과 “공존 과 “ 같이 일함” 의 감각이 결여되어 있는 경향이 있음을 는의하였다. 그는 또한 사머니즘과 그 변 장이 아직도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행동에 널리 그리고 깊이 퍼져 있음올 논의하였 다. 안전과 성공에 대한 강 한 욕망은 어느 사회에 있어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욕망이다. 그러나 그것은 현재의 한국사회에 있어서 매우 심각한 문제들을 만돌어 내 었다. 저자는 ..약간의 : 임상에를 들어 한국인의 행둥과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이러 한 요소들의 작용울 더욱 뚜렷하게 보여 주려고 하였다.
Freedom
Socioeconomic structures and movements.
Authoritarian culture
Lack of rationalism
Shamanism and its disguises
Strong desire for security and socioeconom ical success.
Lack of sense of being-with and working-together.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