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서울굿 굿거리장단에서의 9소박의 특성에 관한 경험적 연구

Empi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9th sub-beat of gutgeori jangdan

  • 26

본 연구는 우리 민속악 4박 계열 장단들 중 서울굿 음악의 타령을 부를 때 반주로 사용하는 굿거리 장단의 연주과정에서 소박 단위의 박들에 나타나는 타이밍 데이터 상의 특징적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굿 실제 연주를 녹음한 연주에서 장군거리에 나오는 4개의 타령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데이터의 처리방식은 오디오 파일을 중심으로 온 셋데이터를 추출하여 첫 박을 기준으로 하는 소박들의 상대적 위상값을 계산하여 그 값들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9소박의 데이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이 발견되었고 ♩♪리듬에서 사분음표에 해당하는 상대적 위상값이 9소박을 향하여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아치형의 구조가 만들어짐을 확인하였다. 맺는형과 다는형을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맺는형 9소박의 표준편차가 다는형 9소박의 표준편차에 비해 적음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이 연주자가 굿거리 12소박을 6+6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12소박 전체를 하나의 호흡으로 인식하고 그 중 9소박을 이 호흡의 정점으로 두고 있다는 것을 추정하게 한다. 즉 전통음악연주자들이 장단을 연주할 때 박을 세면서 연주한다기 보다는 하나의 호흡으로 연주한다는 의미가 경험적으로 증명된 결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timing difference between sub-beats during the performance of gutgoeri jangdan, one of the representative 4-beat jangdans in Korean folk music. The audio recordings of four songs from Seoul gut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 and we extract the inter-onset interval of audio data and calculate the relative phase relationship to the first beat of every jangdan as a reference point. As a result, we found the 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on sub-beat 9 and the fact that RP values of the quarter notes in the rhythm ‘♩♪’ are increasing towards on sub-beat 9 and reced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er is understanding the 12 sub-beats of one jangdan as one phrase or one‘breath’(호흡) which creates arch form with a climax on sub-beat 9, rather than as a composition of 6+6(sub-bea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