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과 교사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Pre-Service Education and Reeducation Related to Music for Young Children

  • 495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음악교육 실태,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직전교육을 통해 유아음악교육 관련 과목은 79.9%, 기악 관련 과목은 68.2%를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교육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직전교육 내용으로 교육현장에 활용 가능한 음악교육 관련 대처방안이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적 음악을 가르칠 수 있는 모의수업 실습 경험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음악교육 실행 시 필요한 음악교육 자료가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는 일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이 가장 많이 지도하는 음악활동은 노래 부르기이며, 지도하기 어려운 음악활동은 ‘음악극’으로 나타났다. 유아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해 신체표현하기 프로그램을 요구하였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재교육을 통해 음악교수 효능감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했다. 재교육 내용으로는 음악교수자료 또는 매체 활용방법을 요구하였으며, 수업 동영상과 수업자료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진행방식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per-service education related to music for young children, the actual stat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and re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42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xperience of taking a course in a subject of music for young children(79.9%) and in a subject of instrumental music(68.2%) through pre-service education, with difference found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type of institution. They perceived the biggest shortage in music education-related coping measures applicable to the field of education in terms of pre-service education content and showed the greatest need for practice experiences with mock lessons to teach actual music. Secondly, they found the biggest difficulty in giving a lesson with lack or absence of music education materials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The music activity they taught most was singing, and the music activity they had difficulties with teaching was music drama. They also raised a need for body expression programs for the activ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inally, they had a high perception of need for reeducation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expected that their efficacy in music teaching would increase through reeducation. They requested for methods to utilize music teaching materials or media for the content of reeducation and wanted methods of progress based on lesson videos and materials for re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