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블래킹은 그의 저서 인간은 얼마나 음악적인가?에서 음악이란 인간을 위해서 인간에 의해서 조직화된 소리라고 정의하고, 음악과 음악사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종족음악학을 제시했다. 그러나 종족음악학에도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고, 그 대안으로 문화음악학이 대두된다. 문화음악학이란 ‘인간 그룹들 가운데 행해지는 음악적 행위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들을 연구하고, 세계의 다양한 음악 문화들의 특징 및 이들의 저마다 독특한 안정성․변화 그리고 발전의 과정들을 인간적․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묘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한국의 문화음악학이 진정한 학문분과로 자리매김 하려면, 음악학의 ‘대안’이나 ‘통합’ 등의 수사가 불러일으킨 이물감을 불식하고 ‘제삼의 음악학 분과’로 몸을 낮출 준비가 먼저 되어있어야 한다. 서양음악학이든 한국음악학이든 민족음악학이든, 종족음악학이든, 음악학의 담론들은 결국은 ‘음악의 연구’라는 이름으로 만나게 될 여러 초점(multifocal), 여러 목소리(multivocal)이기 때문이다. 조망과 방법은 수입된 그대로가 아니라 지금, 우리에 맞게 다듬어야 하고, ‘학문’ 분과인 이상 서구와 이 땅에서 축적된 학문적 성과들과의 격차를 따라잡아야 한다. 그리고 기존의 비학문적 교과 과정과 별도로, 현장과 늘 가까이 있되 최신 방법론의 수용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In his book, How Musical Is Man?, John Blacking defined music as ‘Humanly Organized Sound’(the title of Chapter One), and presented ethnomusicology as a new method to analyze music and musichistory. However, ethnomusicology has shown its own limitations, and, as an alternative, Cultural Musicology is proposed. Cultural Musicology is defined as ‘a study that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musical activities among human groups, and that delineates the idiosyncrasies of diverse music cultures in the world and stability, transformation,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each culture from humane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To establish itself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Korea, Cultural Musicology has to dispel the notion of being an alternative or integrative discipline, and to accept its position as the third academic discipline in music. Whether Western musicology, Korean musicology, or ethnomusicology, musicological discourses are ultimately incorporated into the study of music with multi-focal and multi-vocal expressions. The perspectives and methods of Cultural Musicology should not be used as they are imported from Western academic circles: rather, they have to be adjusted in relation to the particularity of Korean society. Furthermore, as an academic discipline, Cultural Musicology has to keep up with academic achievements accomplished by other disciplines in music both in Korea and the West.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previous image of being a non-academic discipline, Cultural Musicology has to be active in accepting the newest academic theories while staying close to the field of musical activities.
Ⅰ. 머리말
Ⅱ. 음악학의 전환점
Ⅲ. 종족음악학의 개념
Ⅳ. 문화음악학의 정립을 위하여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