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취업 간의 관계 및 이들 간의 관계에서 취업 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고용노동 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6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1차 년도 원자료의 4,07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변수간의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매개 효과 분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단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효과 유의도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취업준비행동을 매개로 취업에 영향을 미침 과 동시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 으며, Sobel test 결과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장애인의 높은 장애수용정도는 취업준비행동을 촉진시켜 취업 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 장애수용 및 취업준비행동과 관련된 장애수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심리상담 프로그램 확대 등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