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부모들의 주관적 인식유형

  • 1,247

본 연구는 가장 가까이에서 자립생활에 대해 고민하는 발달장애인의 부모들 이 발달장애인들의 자립생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일차적 목적이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사회 복지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 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과 관련해 엄선 된 진술문 30개를 가지고, 29명의 발달장애인의 부모들에게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Q 방법론을 통한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 은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은 사회적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지원의 목표 또한 일상생활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일상생활지원 형’이다. 유형 2, ‘당사자 역량강화지원형’은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은 교육과 훈련, 체험 홈 등의 자립준비과정을 통한 당사자의 역량강화가 중요하여 당사 자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본다. 유형 3은 ‘사회적 전문서비스지원형’인 데,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사회적 책임에 두고 포괄적이고 전반적인 지원 과 함께 발달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전문화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유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으며,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였다.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적절 한 지원’이 필요하며, 발달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발달장애 인은 온전히 자립할 수 있다’는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결과 및 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