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Metallurgy, Weapons, and Rituals: Spread of the Luteshaped Dagger Culture of the Liaoxi region in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Old Chosun

  • 2,887

고조선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위해서는 유라시아적 보편성과 한반도~만주의 지리적 특성에 근거한 고고학적 모델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기존 문헌사의 연구에 경도되었던 고조선에 대한 연구를 고고학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청동제련기술, 무기의 발달, 의례의 형성이라는 세 가지 예를 통하여 고조선의 성립과정을 고찰했다. 초기 고조선의 청동기는 이러한 발해만~한반도에 이르는 청동기문화에 기반하여 하가점상층문화의 영향을 받아서 발해만유역에서 형성되었다. 십이대영자유적 단계에는 그 이북의 하가점상층문화가 약화됨에 따라, 무기 대신에 다뉴경과 다양한 의기의 제작으로 위신재를 만들고 지역 간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비교적 넓은 지역에 이루어진 이러한 네트워크는 청동기의 생산 및 이데올로기의 공유로 강하게 유지되었다. 다뉴경이라고 하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의기를 사용하고 재분배함으로써 이 네트워크를 유지했다. 기원전 7~4세기 중국의 선진기록에 기록된 고조선에 해당하는 집단은 요서지역-요동반도-한반도로 이어지는 연안의 [비파형동검+다뉴경]의 네트워크에 해당된다. 이 네트워크는 지속적으로 중심지와 분포영역이 바뀌었고, 기원전 4세기를 전후해서 고조선과 그 주변 집단은 영역화가 되는 변화를 거친다. 기원전 7세기에 고조선이 중국 기록에서 인식된 이유는 이러한 네트워크망의 증가에 따른 정보의 유입과 관련된다. 기원전 4세기경에 고조선은 네트워크 중심에서 영역화된 국가로 바뀌면서 그 성격이 급변했다. 요서지역은 다뉴경 네트워크에서 벗어나서 연국계통의 위신재를 도입했다. 요동지역 고조선은 상보촌 / 윤가촌유형으로 통합되었으며, 서황산둔유형은 부여로, 남성리유형은 마한의 전신으로 통합되는 등 각 지역은 영역화가 되어 독자적인 사회세력으로 성장한다. 이에 따라 발해만 연안의 네트워크가 붕괴되면서 고조선은 백두산 일대 및 송화강유역, 연해주 등 내륙으로의 루트를 강화한다. 이 시기 요북에서 길림지역으로 이어지는 교통로에서 발견되는 소위 ‘연 장성’의 증거는 실질적인 지배를 위한 장성이 아니라 중국의 정치 세력이 고조선과 경쟁하여 중국 동북지역 내류 일대와 교역을 하여 이득을 취하기 위한거점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다뉴경 네트워크가 붕괴되고 고조선이 내륙지역과 관계가 강화되면서 한반도는 독자적으로 세형동검문화를 영위하게 되었고, 한반도 각지에 세형동검문화가 널리 확산되었다.

A systematic approach to Old Chosun requires an archaeological model in the context of Eurasian archaeology and the cultural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Northeastern China (Manchuria).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s to reconstruct the formation of Old Chosun by looking at the inflow of bronze metallurgy, the development of the weapons system, and ritual formation instead of using archaeological materials as subsidiary evidence for literary history. The bronze culture of early Old Chosun was first formed in Bohai Basin area, under the influence of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s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weakened, the Shiertaiyingzi (十二臺營子) culture of Bohai region, represented by bronze mirrors with multiple knobs (多紐鏡) and lute-shaped daggers formed local networks which were connected with the Liaodong region and the Korean Peninsula. These networks were maintained by the high-end technology of bronze metallurgy as well as the sharing of a common shamanistic ritual tradition. The first appearance of Old Chosun, recorded in Chinese historical literature of the pre-Chin period in the 7th to 4th centuries BCE, reflects this network group which stretched from the Bohai area to the northwestern part of Korea. The center and distribution of this network constantly changed, and around the 4th century BCE, Old Chosun and its surrounding communities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a network community to an early state based on territorial governance. From the 4th century BCE, the Liaoxi reg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cultural and political inflow of the Yan dynasty. In contrast to this change, each area of Manchuria and Korea witnessed the autonomous developments of states. The Old Chosun network of the Liaodong area was integrated into Shangbucun(上堡村) Yinjiacun (尹家村) types. The Xihuangshantun (西荒山屯) type in the Songhua River basin developed into the early stage of Buyeo. In South Korea, the Namsungri type developed into the early stage of Samhan society. As the network along the coast of the Bohai Basin collapsed, Old Chosun expanded its trade network into the continental part of Manchuria, to the Baekdu (Changbai) Mountainous area and far eastern part of Russia (Primorie). The structure also referred to as “the Great Wall of the Yan Dynasty”, reaching from the Liaobei area to Jilin Province was also built around this time. These sites do not indicate the movement of political forces of China to the Old Chosun area, but rather the competing trade routes connecting the continent parts of Manchuria with Old Chosun. Although the ritual network involving the bronze mirror with multiple knobs collapsed in Old Chosun and neighboured regions in Manchuria, in contrast, this network flourish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ith the inflow of the slender dagger culture. In this way, the bronze culture of Old Chosu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ncient state formation in Manchuria and Korea.

Ⅰ. 서론: 고대 국가의 형성과 고조선

Ⅱ. 고조선 청동기의 연구현황과 문제

Ⅲ. 고조선 청동기로의 접근

Ⅳ. 네트워크에서 영역화로: 고조선의 변천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