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고고학의 기원론과 계통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신석기, 청동기시대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Discussions on the Origins and Phylogenetics of Material Culture in Korean Prehistoric Archaeology

  • 1,071

한국 선사시대 연구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물질문화의 기원과 계통에 대한 논의는 그 뿌리가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태동기부터 인종 또는 민족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던 일본 인류학을 배경으로 한반도 선사 유적을 조사한 토리이 류조(鳥居龍藏)의 즐문/무문인 생활양식 차이설을 시작으로, 즐문토기 캄케라믹(Kamm Keramik) 기원설을 주창한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에 이르기까지 일제강점기의 한반도 선사시대에 대한 관심은 주로 물질문화의 기원과 계통에 대한 것이었다. 방법론적으로는 몰역사적인 본질론적 비교를 통한 기원 찾기가 주된 것이었다. 이러한 전통은 해방 후 상당기간 동안 남한 고고학에 그대로 투영되었다. 1970년대 이후 캄케라믹설이 비판되었지만 신석기시대 연구에서 기원에 대한 관심은 여전하여 융기문토기, 고산리식토기 기원 논의로 이어졌다. 방법론적 본질론은 극복되었지만 이주와 전파가 유일한 해석틀로 굳어졌다. 자료 증가에 힘입어 물질문화의 계통론적 세분이 이루어졌지만 그 해석은 역시 기원론의 그 것과 대동소이하다. 청동기시대 무문토기 연구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찾을 수 있다. 동·서북지역 토기의 한강 유역 도래와 융합이라는 1970년대 이후 고착된 남한지역 전기무문토기 계통관은 1980년대 이후 유형론의 외피를 입고 입론이 강화되는 듯했지만 1990년 대 들어 기존 계통론과 유형론에 대한 비판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2000년대 들어 돌대문토기를 중심으로 무문토기 조기론이 제기된 이후에는 계통관에 대한 백가쟁명식 논의에 시기구분 논쟁이 더해져 계통에 대한 논의는 매우 혼란스럽다. 연구 과정에서 다양한 입론의 경쟁은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기원과 계통에 대한 그간의 논의가 한국 선사고고학의 지평을 확대해준 것도 분명하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물질문화 변이에 대한 해석이 기원과 계통이라는 협소한 틀 속에 갇혀 버린 부작용 역시 만만치 않다. 이제 기원지를 특정하거나 문화과정을 이주나 전파로 단정짓는 방법론적 단순성을 극복하고 물질문화 변이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릴 수 있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Discussion on the origins and phylogenetics of material culture in the field of Korean prehistoric studies dates back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e works of Japanese anthropological researchers who were greatly interested in race or ethnicity, from Torii Ryuzo who investigated Korean prehisoric sites and argued for differences in the lifestyle and subsistence of the Chulmun and Mumun pottery periods, to Fujita Ryosaku who advocated the theory that Chulmun pottery originated from the ‘Kamm Keramik’ tradition, Korean prehistoric researchers focused on identifying the origins and filiations of material culture. Methodologically, attempts were mainly made to find origins through intrinsic comparison, faced with a lack of information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This tradition was reflected in South Korean archaeology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fter liberation. Since the 1970s, although the ‘Kamm Keramik’ theory was been criticized, an interest in origins contined to exist in studies of the Neolithic period, leading to debates on the origins of applique pottery and Gosanri-style pottery. Methodologically, essentialism was overcome, but migration and diffusion came to be used as an unique interpretative framework. The phylogenetic subdivision of material culture was achieved by means of the increased data, but the interpretation itself is not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on origins. A similar tendency could be found in the study of Mumun pottery in the Bronze Age. The perspective on the appearance and fusion of pottery from the northeastern and northwest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Han River basin, which was maintained from the 1970s, appears to have become strengthened from the 1980s using the concept of the ‘cultural assemblage’, but the point of view became controversial after criticisms on phylogentic and typological approaches were put forth from the 1990s. Especially since the 2000s when the ‘initial phase’ of Mumun pottery came to be proposed based on Doldaemun pottery, the topic of phylogenetics has become more debatable, along with chronological issues. The competition of various opinions in the process of research can be positively evaluated. It is clear that the continuous discussions on origins and phylogenetics have expanded the horizons of Korean prehistoric archaeology. However, the side effect of this is that single interpretations based on origins and phylogenetics tend to become trapped in a narrow framework. It is necessary to overcome such a methodological simplicity that identifies origins or cultural processes only from the viewpoint of migration or diffusion, as well as to change perceptions so that variations in the material culture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Ⅰ. 머리말

Ⅱ. 신석기시대

Ⅲ. 청동기시대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