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고고학에서 기원과 계통의 연구-삼국시대

A Study on Origins and Genealogy in Korean archaeology-the Three Kingdoms Period

  • 401

이 글에서는 삼국시대의 주요 고분을 사례로 들어 외래 문물의 기원과 계통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데 유의해야 할 점을 몇 가지 지적하였다. 새로운 묘제는 그것을 받아들인 지역과 기원지와의 관계를 보여 주지만 그 등장이 기원지의 사람들과 반드시 동반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것이 다른 지역에서 등장하는 시기와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구체적인 역사 상황과 고분을 정치사회적 관계 설정에 어떻게 이용했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한편 역동적인 역사가 전개된 한반도의 삼국시대 연구에서 분포 지역, 구조 및 부장품만으로는 고분의 축조 주체를 단정하기 어렵다. 주요 점유세력의 교체가 빈번한 경계, 요충지, 변경 등지에 위치한 고고유적의 계통 문제를 논의하는 데 고려해야 할 점이다. 외부에서 기원한 새로운 묘제는 기존 묘제 전통, 정치적 동기 및 주변 정치체와의 관계, 외부 요소를 도입하기에 충분한 현지 여건 등이 구비되어야 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여러 곳에서 기원한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면 특정 요소만으로 고분의 축조 주체를 논의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복합성과 현지세력의 주체성의 상관관계에 무게를 두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In this article, I pointed out several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origins and genealogy of foreign objects through reviewing several 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 new tomb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where it was received and the place where it originated, bu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its appearance necessarily accompanies the people of the place of origi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 of that time, as well as how the tomb was used to establish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 in order to grasp the time period and background of its construction in other regions. In the stud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ith its dynamic history, it is difficult to explore the subject of the construction of tombs by looking only at distribution area, structure, and additions. This phenomenon should be considered in discussing the genealogical problems of archeological remains located at the boundaries, where major occupation forces were frequently replaced. New tombs that originated from the outside can be introduced only when the existing burial traditions, political motives and relations with surrounding politics, and sufficient local conditions allow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elements. In the case that the various elements of the tombs originated from various places in a complex manner,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 subject of the tomb by looking at certain elements only. We should also consider placing we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complexity and the subjectivity of the local forces.

Ⅰ. 서론

Ⅱ. 주요 사례로 살펴본 기원과 계통의 의미

Ⅲ.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