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고대 유리구슬의 생산과 유통에 나타난 정치사회적 맥락

Political and Societal Context Revealed through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ncient Glass Beads in Korea

  • 783

본고에서는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유리구슬 중 환옥이 다양한 경로를 통한 교역품일 가능성을 검토하여 ‘생산’과 ‘유통’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했다. 먼저 한반도 내에서 유리구슬이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했다. 그 결과 Moulded기법은 한반도에서 사용된 기법이었던 반면, 주된 제작기법인 Drawn기법은 한반도 내에서 사용했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화학조성의 경우에는 포타쉬유리에서 소다유리로 변화되는 모습은 한반도에서만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도 연동된다. 따라서 Drawn기법으로 제작된 유리구슬들은 한반도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낮다. 유리구슬의 화학조성을 중심으로 생산지를 추정해 보면, 포타쉬유리는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에서, 소다유리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산지의 위치가 주목되는데 실크로드 중 바닷길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이 장소에서 유리구슬이 유통된 이유는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의 정치・경제적 관계를 통해 알 수 있으며, 특히 중국 내에서 남방물산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다양한 물품과 함께 유리구슬이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대 한반도에서 유리구슬을 다량 수입한 이유는 『三國志』 위서 동이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슬에 대한 높은 기호 때문이다. 출토정황을 보았을 때 복식에 있어 경식과 흉식 그리고 머리장식 등에 유리구슬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렇기 때문에 유리구슬을 수입하는 주체, 유통과정, 최종소비지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각 단위 내지 주체는 단선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 연동되는 복잡한 모습을 띠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garding the hwan-ok (丸玉) excavated in the Korean Peninsula as a trading good, by discussing its various transaction routes and elucidating the problems concern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lass beads. First,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glass beads were manufactured in the Korean Peninsula. It was concluded that the moulded technique was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possibility of the drawn technique having been used was found to be low.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the shift from potash glass to soda glass is not confined to the Korean Peninsula but extends to other parts of East Asia and Southeast Asia. Thus, the probability of the drawn technique having been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is low indeed. In relation to the possible origin of glass beads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it can be noted that potash glass originates from South Asia, Southeast Asia, and Southern China; soda glass originates from South Asia and Southeast Asia. In particular, there is high probability that the manufacturing region is related to the Maritime Road, which is a part of the Silk Road. This shows that glass beads were distributed through political and economical relations between South Asia, Southeast Asia, and East Asia. In China, glass beads were imported along with other goods, as the demand for South and Southeast Asian products increased. Glass beads were imported in ancient Korean Peninsula in large amounts as a result of the high preference for these goods, as mentioned in the Sanguozhi weishu dongyizhuan (『三國志』 魏書 東夷傳). Excavated sites show that glass beads were used as necklaces, chest decorations, and hair decorations. We can therefore induce that there was a group that imported the glass beads, as well as a circulation course, and a final destination for the glass beads.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factors was interactive and complex – the relationship was not simple nor linear.

Ⅰ. 머리말

Ⅱ. 유리구슬의 계통

Ⅲ. 유리구슬의 생산과 종류

Ⅳ. 유리구슬의 유통과 정치사회적 의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