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고학 논문의 학술성 제고를 위하여

  • 528

학문에는 왕도가 없다는 말이 진리일진대, ‘학술성 제고를 위해’ 무언가 논의를 한다니 웬일인가 싶을 것 같다. 실은 몇 달 전에 한국고고학회 이남규 회장이 전화를 해 학회 운영위원회에서 학회 40주년과 『한국고고학보』 100호 발행 기념으로 몇 사람에게 학회 또는 학계의 현안 문제들에 대한 특별 논고를 받아 싣기로 기획을 했다면서 필자에게 ‘학술성 제고’와 관련된 글을 쓰되 제목은 마음대로 정해도 되니 맡아 달라는 주문을 하였다. 주제가 사실 막연하다고 생각이 되는 데다 개인적으로 금년이 안식년이라 그 취지에 따라 심신을 평안히 하려는 중이라고 극구 사양하였다. 그러나 이 회장은 오히려 안식년이라 시간 여유가 있을 테니 맡아 주어야 한다고 강권을 하였다. 이 논리와 평소 친분에 반한 거절 부담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대처를 할 수가 있었지만 현 회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일에 대해 전임 학회장으로서 나 몰라라 하기는 어려웠다. 어쩔 수 없이 수락을 했으나 그래 놓고는 후회가 막급하였다. 제도 개선 같은 주제는 어떻든 ‘방안’이라는 게 나올 수가 있지만 학술성을 높인다는 데는 누구나 공감할 만한 방안이라는 게 있을 리 없기에 막막했다. 처음에는 학술대회, 저서, 논문 나아가서는 발굴 등을 포괄하는 논의를 해야 하겠지 싶어서 궁리를 하다가 결국 기한이 거의 다 되어 논의의 대상을 논문으로만 좁혔다. 이를테면 발굴 분야의 학술성 제고를 위한 논의처럼 특정적이면 매장문화재부담금제도 제안과 같은 나름의 구체적 방안이 제시(김권구 2016)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논문이나 저서의 경우에 그런 방안은 나올 리가 없다. 그렇더라도 글의 성격상 이래야 된다느니 저래야 된다느니 하는 당위를 논하지않을 수 없다. 더구나 고고학의 시대별, 분야별로 당연히 서로 다른 소위 아젠다들이 있을것인 데도 한 사람이 전체에 관해 말해 보라니 역시 무리가 아닌가 싶다. 이러해서 과연 필자가 그런 당위를 운위할 만한 자격이 되느냐 하는 문제부터 시작해 꺼림칙한 점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더욱이 일반 논문처럼 평소에 오랫동안은 아니더라도 고민을 하던 주제도 아니다. 그래서 평소 대학교 강단이나 학회 등에서 느낀 바를 그야말로 두서없이 언급하는 수 밖에 없을 듯싶다. 다만, 논의의 주제와 초점은 고고학계에 전체적으로 관련되게 마련인 당위의 영역, 이를테면 발굴을 잘 해야 한다느니 대학교에서 학위 논문 심사를 좀 더 엄격히 해야 한다느니 번역서를 더 많이 내어야 한다느니 하는 이런 문제보다 고고학 연구자각 개인의 관점에서 볼 때 직접 와 닿고 또 공감할 만한 부분으로 최대한 맞추도록 하겠다. 또 되도록이면 나름대로 일반화를 지향하겠지만 사례라든지 내용이 어쩔 수 없이 지역적으로나 시대적으로 필자가 거주하고 전공하는 영남 삼국시대로 쏠리는 편향성이 강한 내용이 되고 말 터이니 미리 양해를 구해 둔다.

Ⅰ. 들어가며

Ⅱ. 논문 쓰기라는 화두 견지하기

Ⅲ. 좀 더 나은 글쓰기 노력

Ⅳ. 학연 및 지연 집단주의의 탈피

Ⅴ. 형식분류와 단계 구분, 편년, 절대연대 비정의 상대성과 도구성에 대한 인식

Ⅵ. 나오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