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The Effect of Electroconvulsive Shock and Cholinergic Drugs on Anterograde Amnesia in Albino Rats

전기경련충격과 콜린계 약물이 백서의 전진성 기억장애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전기경련충격에 의한 장기적인 전진성 기억장애에 대한 동물모형의 개발과 콜린계 약물이 전기경련충격에 의한 기억장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흰쥐에 전기경련 충격을 반복하여 시행한 후 왕복회피상자에서 피동성 도피학습一파지시 험간격을 달리하여 파지시험 결과를 측정하였고, 콜린계 약물들을 용량 및 시기별로 투여하여 파지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일 전기경련충격을 받은 집단은 파지기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7회에 걸쳐 전기경련충격을 받은 집단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파지기능의 저하를 보였으며,피동성 도피학습一파지시험간격 504시간이 경과하여도 파지기능은 회복되지 않았다. S) 7일에 걸쳐 1일 1회씩 전기경련충격과 atropine • physostigmine을 투여한 뒤 피동성 도피학습과 파지시험을 실시한 결과,전기경련충격만을 시행한 집단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physostigmine을 투여한 집단은 투여용량이 늘어날수록 파지기능이 다소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다. 4) 7회에 걸쳐 전기경련충격을 시행한 뒤 피동성 도피학습 직후 atropine • scopolamine • arecoline • physostigmine • choline을 1 회 투여한 결과, choline을 150mg/kg 투여한 집단은 전기경련충격군의 학습一시험간격 24시간 집단 및 다른 약물을 투여한 집단에 비해 파지기능의 유의한 중가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저자는 본 실험을 통해 전기경련충격에 따른 전진성 기억장애를 평가할 수 있는 동물모형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억장애에 대한 콜린계 약물의 효과를 좀 더 알아보므로써 기억장애의 기전을 밝혀내고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troduction

Subject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