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나말여초 도기에서 자기로의 생산체계 이행 과정

The Transi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of Pottery to Celadon in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Period

  • 693

본고의 목적은 나말여초기에 이루어진 도기에서 자기로의 생산체계 이행 과정을 추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도기와 자기의 기종구성과 성형기술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나말여초기 생산체계 이행 과정은 1~3단계로 나뉜다. 1단계는 나말여초 도기 양식의 성립과 제작의 전문화 단계로 8세기 중엽부터 10세기 전후에 해당한다. 경주 화곡리·보령 진죽리 요지와 같이 다양한 기종과 양질의 도기를 제작한 요지는 전업 도공에 의해 대규모로 운영되었다. 주요 소비지는 왕실, 귀족의 저택, 사찰 등이다. 반면 지방에 위치하며 단기간에 운영된 요지는 기종구성이 단순하고 상대적으로 조질의 도기를 생산한 다. 소비지는 인근에 위치한 취락을 대상으로 하며 소규모 생산체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2단계는 중국에서 자기 제작기술이 도입되어 한반도에 처음으로 자기가 제작되는 시기로 10세기 전엽에서 후엽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 운영된 자기요는 동일한 기종과 형태의 자기를 대량 생산한다. 따라서 자기 생산체계는 도기에 비해 고도로 전업화·전문화되었을 것이다. 이 시기 도기는 저장·운반용기를 중심으로 생산하므로 자기와 도기 생산체계는 생산기종과 성형기술적인 측면에서 이분화되었다. 3단계는 10세기 후엽에서 11세기 중엽으로 자기와 도기의 생산체계 상호작용의 시기이다. 월주요 도공에게 기술을 전수받은 도기 도공의 주도로 자기생산이 이루어진다. 자기는 여전히 소형 기명이 중심이지만 병·호류는 도기와 동일한 형태와 성형기술로 제작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nature of the transi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of pottery to celadon, which took place in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Perio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forming techniques and manufacture of pottery and celadon. As a result,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Late Silla-Early Goryeo production system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Stage 1 is characterized by the establishment and manufacture of the Late Silla-Early Goryeo pottery style, and dates from the mid-8th century to the 10th century. The sites of Hwagok-ri, in Gyeongju, and Jinjuk-ri, in Boryeong, represent examples of large-scale, industrial ceramic production carried out by full-time potters. On the other hand, the pottery kiln sites located in the provinces and operated on a short term basis are characterized by simple vessel form compositions and the production of relatively low-quality pottery. Stage 2, which dates from the early 10th century to the late 10th century, is when celadon was manufactu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The majority of the celadon vessels have the same shape and forming technique. The production system was of a large-scale, unlike that of pottery. In this stage, pottery was only manufactured to provide large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tai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system of celadon and pottery was divided into two parts. Stage 3 is when the interaction of the production systems of celadon and pottery took place. It dates from the late 10th century to the mid-11th century. Celadon was manufactured by potters who learned the skills from the Yuezhouyao potters, and a change can be observed, accordingly, in the celadon forms. Small tablewares were mainly produced.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pottery and celadon were similar.

Ⅰ. 머리말

Ⅱ. 도기와 자기의 기종구성과 변화양상

Ⅲ. 도기와 자기의 성형기술 검토

Ⅳ. 도기에서 자기로의 생산체계 이행 과정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