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반도 남부 출토 前漢鏡의 제작연대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Earlier Han Mirrors Excava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522

한경의 편년에 대한 연구는 단위문양을 근거로 종합적인 형식 분류를 행한 岡村秀典의 연구가 중심이 되어 왔다. 岡村秀典의 연구 이후 많은 시간이 지났으며 그간에 중국에서도 다량의 漢鏡 출토 유적 보고서가 발간되었으므로 그를 집성해서 형식을 재설정하고 새로운 연대관을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중국에서 발간된 한경 도록과 한묘 보고서, 잡지 簡報에 보고된 전한경을 중심으로 형식 분류하였다. 반리문경과 초엽문경은 主文樣帶의 문양 구성, 성운문경은 乳座와 小乳 개수, 이체자명대경은 글자체와 周緣部 형태, 훼룡문경은 훼룡문 주변의 충전 문양, 가상귀부경은 주연부 형태에 따라 분류하였다. 단순한 차이를 근거로 하지 않고 시간적 변화가 뚜렷하게 반영되는 속성을 기준으로 형식 분류하여 거울의 제작연대를 결정하는 데에 분명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재설정된 형식은 거울과 공반된 한묘 출토 유물로 연대를 설정하였다. 반량전과 오수전, 왕망기 전폐는 주조시기가 명확히 드러나므로 연대 추정에 유효한 유물이 될 수 있다. 기년명 자료는 연대 자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비교적 신분이 높은 피장자의 묘에서 출토되는 인장은 문헌 사료를 통해 피장자를 특정할 수 있다. 이외에 중국 보고서 및 간보에서 분석한 陶器 조합과 묘장의 형태와 구조에 따른 연대관을 참고하여 각 형식의 세분된 연대관을 재설정하였다. 그 결과 전한경의 전체적인 연대가 기왕의 연대보다 상향조정됨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남부 출토 전한경은 완형과 파편, 재가공품을 대상으로 잔존하는 주문양대를 분석하여 해당 중국 거울의 형식과 연대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밝혀지지 않았던 파편과 재가공품, 훼룡문경과 가상귀부경의 구체적 형식과 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전한경의 제작 연대를 밝힌 것으로, 낙랑과 한반도 남부로의 유입연대와 매장연대에 대해서는 별도의 글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newly classifies the types of Earlier Han mirrors and presents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ir production dates. Research on the chronology of the Earlier Han mirrors was conducted with focus on the research of Okamura Hidenori. Much time has passed since Okamura Hidenori’s research was carried out and since then many excavation reports have been published on the Han mirrors found in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new data to re-establish mirror forms and to formulate a new view on their date of manufacture. Thus, classification was undertaken on the types of the Earlier Han mirrors which appear in the picture catalogues of Han mirrors, excavation reports of Han Dynasty tombs, and magazine briefs published in China. Banrimun-gyung and Choyupmun-gyung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attern configuration of the main pattern belt, Seongwunmun-gyu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trusion borders and protrusions, Ichejamyungdae-gyung according on the forms of the letters and edge, Hweryongmun-gyung according to filling patterns located around hweryongmun pattern and Gasanggwibugyung according to the edge form. By classifying types based on the elements that clearly reflect changes over time, rather than on the basis of simple differences, this study proposes a clear direction in determining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mirrors. A new period for the manufacture of the mirrors was proposed based on the recorded data and coins excavated from Han Dynasty graves. Banryangjeon and Ohsujeon, coins used in the Xin Dynasty, and bills can be used effectively in estimating the date of associated finds since their casting period is clearly known. Inscription materials specifically state the dates, and seals excavated in the tombs of the deceased of a relatively high status can make it possible to identify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through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the production period of each type was further subdivided by considering the associated ceramic assemblage and tomb shapes analyzed in the Chinese excavation and brief report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entire period for the production of the Earlier Han mirrors was earlier than previously thought. In the case of the Earlier Han mirrors excava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emaining main patterns were analyzed from the complete mirrors, mirror fragments, and recycled pieces, and the chronological and classificatory scheme of the Chinese mirrors was applied. As a result, it became possible to identify the specific type of the mirror fragments and recycled pieces, in addition to newly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Hweryongmun-gyung and Gasanggwibu-gyung mirrors. As the central aim of the paper was to identify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Earlier Han mirrors, the issue of when they came to be introduced in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dates of their deposition into graves will be addressed in a separate paper in the future.

Ⅰ. 머리말

Ⅱ. 중국 출토 전한경 형식의 재설정

Ⅲ. 漢墓 유물로 본 각 형식의 제작연대

Ⅳ. 한반도 남부 출토 전한경의 분류와 편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