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三韓時代 嶺南地域 鐵製표비의 硏究

A Study on the Iron Bits of the Yeongnam Region in the Samhan Period

  • 343

본고에서는 표비를 표, 함, 인수로 나누어 속성을 추출하고 각 속성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후 안정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형식을 설정하였다. I-1단계에는 IA가1式이 주로 사용되며 프로펠러형・I자형・고사리형 표가 모두 출현한다. I-2단계에는 형식의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게 되며, II단계가 되면 IIB나式이 주류를 이루게 되고 고사리형 표비 일색이 된다. 또한 프로펠러형 표는 대칭성이 점차 나빠지는 방향으로 변해 가며, I자형 표는 표신 양단이 넓은 것에서 좁아지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세 형태의 표비는 각각의 계보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하여 이들의 계보에 대해 검토하였는데, 고사리형 표비는 영남지역 특유의 것으로 보았으며, 프로펠러형 표비의 경우 연계 표비의 영향으로, I자형 표비는 흉노의 영향으로 생각하였다. 다만 흉노와의 직접적인 접촉이라기보다는 낙랑지역에 존재하던 흉노의 영향이 영남지역에서 발현된 것으로 보았다. 뿐만 아니라 I-2단계에 확인되는 북방계 문물의 존재 및 이를 통해 유추되는 낙랑과 관련된 사회 외부적인 변화와 韓 사회 내부적 역량 증가 등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목곽묘 및 후기와질토기 문화로 발현되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또한 내륙교통망을 통한 대구-경주지역 문화의 유사성을 표비의 출토양상에서도 확인하였으며, 낙동강하류역의 경우 이들 지역과 달리 고사리형 표비로 대표되는 자체적인 문화의 색채가 강한 점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삼국시대 초기 표비에 잔존하는 삼한시대 표비의 요소를 통해 삼국시대로의 급격한 변화에도 삼한시대의 전통이 유지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내재적인 역량이 삼국시대의 북방계 기승 용 마구의 출현에도 빠른 토착화 및 변용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보았다.

In this paper, the horse bit are divided into the cheek-pieses, the bits, and the rein, then extract the properties. After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properties, then set up a format based on a stable relationship. In Stage I-1, the IA가1 type was used and the propeller, the I, and the bracken-shaped types appeared. In Stage I-2, there was a change in the types. In Stage II, the IIB나2 type becomes popular and the bracken-shaped bit also becomes a mainly used type. The propeller type’s symmetry got worse. The I type’s both ends were narrowed. The three bit types each have their respective origins. The brackenshaped type is peculiar to Youngnam area. Previous research proposed that the propeller type had originated from Yan China but analysis suggests that the I type originated from Xiongnu. However, this was not through the direct influence of Xiongnu but through the Lelang area which had already been influenced by the Xiongnu culture. The wooden chamber tomb and the Latter Wajil pottery culture appeared as a result of complex causes — there were both internal changes and external changes associated with Lelang in Stage I-2. Similarities with the culture of the Daegu-Gyeongju area via the inland network system is confirmed through the archaeological contexts in which the bits were excavat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a unique characteristic can be observed which is represented by the bracken-shaped bit. Finally, it can be observed that the elements of the Samhan Period continued into the early stag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may be due to this internal capability that the swift changes that occurred following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harness were possible.

Ⅰ. 머리말

Ⅱ. 철제표비의 분석

1. 세부구조와 기능 2. 형식 및 단계설정

3. 표비의 변화

Ⅲ. 표비의 계보와 전개

1. 삼한시대 표비의 원류 2. 표비의 전개

3. 삼국시대 표비에 끼친 영향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