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시대 경주양식분포권 토기 생산과 교환의 과학분석을 통한 연구

Scientific Analyses of Production and Exchange in the Gyeongju Type Pottery Sphere

  • 241

경주양식 토기 분포권의 생산과 교환 맥락에 접근하기 위하여 양식권 내 욱수동, 옥산동, 임당동, 조영동, 황성동 5개 유적의 토기샘플을 채집하여 태토의 과학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점토의 화학성분을 위한 마이크로프로브 방법과 보강재인 광물조성을 편광현미경에 의한 암석분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변별이 이루어지는 티타늄과 칼륨 및 나트륨 화학성분의 상관그래프에서 크게는 경주군과 비경주군으로 분포군이 구분되었으며, 다시 서로 다른 군들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대구ㆍ경산지역 유적들은 모두 토기요지인 옥산동과 겹치는 화학성분 분포군이 있었다. 그와 함께, 대구ㆍ경산 유적 성분은 경주 황성동 분묘유적 분포군과도 겹치고 있었다. 과학적 분석결과들을 종합해 본 결과, 여러 토기제작소의 존재가 예상되므로 모든 유적이 토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기는 수요에 비해 불충분한 양을 교환하기 위해 경주 중심지와 지역 거 점지 간에 일차적인 교환이 이루어지고, 주변지역은 거점지와 중소형 사회집단들과 이차적인 교환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경주양식 토기 분포권은 불충분한 물자의 교환을 위한 긴밀한 네트워크로 형성되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다양한 생산품들은 위계적 질서가 아니라 전문적 역할분담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rder to study ceramic production and exchange in the sphere of Gyungju type pottery, we analyzed the paste of pottery samples collected from five sites. Our methods included petrographic analysis of the mineralogy of the temper particles and electron microprobe assays of the clay chemistry. The pottery from the Gyeongju was distinguished from non-Gyungju ceramics based largely on the chemical concentrations of TiO2, K2O, and Na2O.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pottery at the Daegu·Gyeongsan regional sites overlap with ceramic samples from the Oksan oven site and the Gyungju tombs site.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s of the pottery data implied that pots could be made locally by most social units. Nevertheless, pottery production was modest, leading to a patterned distribution of pottery. The local center exchanged primarily with the Gyeongju center, and the local peripheral communities exchange secondarily with the local center. The sphere of Gyeongju type pottery formed as a network of exchange of insufficient items. These items were not produced in a hierarchical arrangement among social units, but by a division of labor among artisans.

Ⅰ. 머리말

Ⅱ. 분석방법

1. 토기의 과학분석 방법 2. 마이크로프로브(Microprobe)

3. 암석분류(Petrography)

Ⅲ. 분석대상 유적의 지질환경과 토기샘플

1. 분석대상 유적의 지질환경 2. 경주양식 토기와 분포권

3. 샘플 채집

4. 분석대상 토기샘플

Ⅳ. 분석결과

1. 암석분류 2. 마이크로프로브

Ⅴ. 경주양식분포권 토기의 생산과 교환

1. 분석결과로 본 특징들

2. 경주양식분포권 토기의 생산과 교환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