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新羅 垂飾附耳飾의 系統과 變遷

The Lineage and Development of Silla Pendant Earrings

  • 433

본고의 목적은 신라지역에서 출토된 수식부이식의 계보관계와 시간적 위치를 상세히 정리·파악하여 그 변천을 살피고 그 획기를 신라의 대외관계라는 측면에서 평가하는 데 있다. 그 기초 작업으로 우선 이식 자체의 형식학적 검토를 바탕으로 정확한 계통 파악과 편년의 수립을 시도하였다. 이식의 변천 양상에서 획기를 추출하고 그런 변화를 유발시킨 사회적 배경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가 되는 이식의 연대를 고분 편년으로 도출한 부장연대가 아니라 제작연대로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먼저 이식을 주환, 중간식, 수하식, 연결금구로 나누어 각각을 자세히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분류 사이의 형식학적 친연관계를 파악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속성변화를 상정하였다. 다음으로 중간식의 차이에 따라 계통을 설정하였다. 계통별로 상정한 속성 변화가 서로 연동하는지 확인하면서 자료의 시간적 배열을 실시하였다. 또 이식의 공반관계나 공반유물의 편년연구를 참고해서 계통 간의 병행관계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식의 전체적 변천 흐름에서 획기를 추출해 1~5기의 변천분기를 설정한 후 역연대를 부여하였다. 신라 수식부이식에는 아홉 가지 계통이 존재하며, 이들은 의장이나 제작기법을 공유하는 두 가지 큰 계통군 중 어느 한쪽에 포함된다. 이는 어느 시기에 크게 두 집단이 신라이식을 만들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계통들이 각 분기에서 어떠한 발생, 변화, 소멸의 과정을 보이는지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해석에 도달하였다. 1기에 고구려와의 관계가 심화되는 것을 계기로 시작된 신라의 이식 제작은 고구려계 기술 공인과의 관계 속에서 점차 제작 체제를 정비하고, 2기에는 신라 이식이 신라 내부 공인에 의해 안정적으로 제작되었다. 3기에는 공인집단이 분화되어, 두 공인집단에 의해 이식이 더욱 다양화된다. 한편, 이 시기부터 탈고구려 정세에 따라 이식에서 보이던 고구려적 양상은 사라지고, 대신 백제와의 관계성이 강하게 보인다. 신라 이식은 그 후 장식성이 계속 증가되어, 5기에 이르러서는 그 장식성이 최고조에 달하였다. 그러나 직접통치체제로의 변화에 따라 금공위세품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이식 공인집단은 다시 통합되었다.

In this paper, the writer extracts the attributes that change with time from Silla pendant earrings based on the typological method. After the process, the writer constructs the lineage of the pendant earrings according to bead type and attempts a chronological arrangement by checking whether the changes in the attributes are linked to one another. The pendant earrings were then divided into five periods and each period is attributed a calendaric date. Nine lineages can be identified for the Silla pendant earrings. These lineages belong to two larger lineage categories which share design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This suggests that there were two groups of craftsmen who produced Silla pendant earrings at a given time period. In considering how these lineages emerged, changed and disappeared during each period, the writer arrived at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In the first period, which is when pendant earrings first came to be manufactured in the Silla Kingdom,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Goguryeo became intensified. With the support of Goguryeo craftsmen, Silla continued expand its production system and by the second period Silla craftsmen began to independently and stably manufacture pendant earrings. During the third period, the craftsmen split into two groups, and Silla pendant earrings became more varied in nature. In addition, following the Silla Kingdom’s attempts to distance itself from Goguryeo, Goguryeo technological features gradually disappeared from Silla pendant earr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Beakje and Silla, instead, became stronger. In the fifth period, Silla pendant earring decorations are the most sophisticated. On the other hand, the transition to a direct ruling system led to a decrease in the demand of metalwork prestige goods, which resulted in the reuniting of the two crafts groups.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Ⅲ. 이식 각부의 분석

1. 각부의 유형 2. 부품별 유형의 시간적 선후관계

Ⅳ. 이식의 계통과 계통별 배열

1. 중간식으로 본 이식의 계통 구분 2. 계통별 배열 3. 계통 간의 병행관계

Ⅴ. 신라 수식부이식의 변천

1. 변천분기와 역연대 2. 신라 수식부이식의 변천과 그 배경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