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평저토기문화권의 신석기후기 이중구연토기 지역성과 병행관계

A study on the locality and the parallel relation of the double-rimed pottery in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of the Latter Neolithic Age

  • 123

신석기후기 이중구연토기가 한반도 남부에 출현하는데, 비슷한 시기에 한반도 북부의 평저토기문화권에서도 이 토기가 등장하는 점에 주목해서 각 지역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중구연이면서 동체부에 점토띠가 세로로 부착되는 토기가 출토되는 지역과 구연만 이중으로 표현되는 토기가 출토되는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편보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하요하유역부터 요동남부, 요동북부와 압록강 우안과 좌안, 청천강 유역이 포함되고, 후자는 이 문화의 영향이 없는 지역으로 두만강 유역, 한카호 유역, 목단강 유역, 아무르강 하류까지이다. 이중구연으로 표현되는 토기가 발형이고 뇌문토기와 공반되는 것은 양 지역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이들은 평저토기문화권의 신석기후기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편보문화의 영향을 받은 지역에서는 삼족기와 고배가 확인되지만, 반면에 신암리 유적에서는 삼족기가 없으며, 화려한 뇌문토기가 출토되는데 압록강 하류의 강한 지역성을 나타낸다. 편보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은 지역에서는 기종구성이 단순하며 대부분의 토기가 발형이다. 편보문화의 동체부와 구연부에 점토띠가 부착되는 토기는 산동반도에서 문양요소만 받아들이고 재지적인 발형기형과 결합하였다. 삼당 1기가 편보문화 토기가 출토되는 것 중에서 가장 이르며, 그 시점은 대략 5000 B.P. 시기로 생각된다. 편보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은 지역은 그 이전 단계로부터 재지적인 발전을 이룬 것으로 보이며 그 시점은 자이사노프카 문화(두만강 1유형)가 시작되는 5000 B.P. 시기로, 양 지역은 비슷한 시점에서 발생한다. 이중구연토기가 등장할 때 평저토기분포권이 서북한에서는 압록강 유역에서 청천강 유역으로 넓어지며, 동북한에서는 강원도 동해안에서 두만강 유역으로 이동한다. 이 토기를 중심으로 양 지역의 병행관계를 살펴보았는데 5000~3800 B.P. 시기에 각 지역에서 존재하다가 점차 무문토기로 발전해 나간다.

In this paper, the double-rimed pottery of each area is reviewed focused on this pottery is checked in the north region next to Korean peninsula, while it is found in the south korean peninsula, in the latter neolithic age. As a result, it is divided into two different area; one is that a clay band is attached on a lip and a body of the double-rimed pottery, and the other is that a clay band is attached only on a lip. The former is influenced from the Pianbao culture and extends from the Xialiaohe area to the south and north Liaodong, both banks of Amnok river and the Cheongcheon river area. The latter is not influenced from the culture that the pottery is checked from the Tumen river, the Xhanka Lake area, Mudanjiang area and the downstream area of the Amur river. It is common that the clay band is decorated on the pot shaped pottery and found together with the thunder-patterned pottery. The Santang 1 phase is the earliest among the sites of the region that is influenced from the Pianbao culture and it corresponds about 5000 B.P. The area that is not influenced from the Pianbao culture seems to be developed from the Boisman culture locally. It emerges from 5000 B.P. that the Zaisanovka culture begins. It appears in the similar time in two different areas. In 5000~3800B.P., the double-rimed pottery is the existence that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latter neolithic age of the northeast asia.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과 문제제기

Ⅲ. 각 지역의 이중구연토기 출현 정황

Ⅳ. 평저토기문화권의 이중구연토기 지역성과 각 지역의 병행관계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