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 지산동 44호분 순장곽의 매장패턴 연구

A Study on the Burial Pattern of Goryeong Jisan-dong Tomb No. 44-With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remains and grave goods

  • 372

본 연구에서는 피장자의 인골에 관한 형질정보와 부장품 사이의 위치관계를 지산동 44호분 순장곽을 통해 검토해 보았다. 지산동 44호분의 순장곽은 모두 32기이며 축조시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분석을 통해 해당하는 시기에 존재했을 일련의 매장패턴을 확인하는 데 적합한 자료이다. 분석결과 순장자의 성별과 부장된 토기의 위치관계에서 특정한 매장패턴을 도출할 수 있었다. 남성의 경우 고배를 頭部 방향에 두고, 여성의 경우 고배를 足部 방향에 두며, 굴장 남성의 경우 여성처럼 足部 방향에 고배를 두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석결과와 검증을 통해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역할(gender)에 대한 인식을 갖고 있던 대가야 사회에서 44호분이 축조되는 5세기 말경에 매장패턴이라는 하나의 문화적 형태가 구체화되었으며, 이것은 대가야권역 내에서도 지산동고분군에서만 적용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도출된 매장패턴을 이용해 순장자들의 누락된 정보를 일부 복원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44호분의 순장곽 배치와 순장자 성격에 대한 종합적인 해석도 시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search that verifies the relationship by Jisandong Tomb No.44 between character information on bone of the buried and grave goods. Sacrificed burials are suitable for verification on a series of the burial pattern which probably existed in corresponding time because the construction period of Sacrificed burials, which consist of thirty-two, is totally same. According to analyzed result, specific burial pattern was foun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of the buried and buried earthenware. It was also found that mounted cup had been placed on head direction with the buried for male while placed on the direction of the feet for female. With the buried for folded man, moreover, the result proved that mounted cup had been placed on the direction of the feet like female. Daegaya society had held that social roles and perceptions depends on gender. Under this information, the consequence of investigation revealed that it was Daegaya where the burial pattern as a kind of cultural form had been embodied by the group who had built Jisan-dong Tombs in the late 5th century. It also revealed these facts had only applied to Jisan-dong Tombs in Daegaya. In addition, the study partially restored omitted information of the buried by means of the burial pattern and trie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ment of sacrificed burials and the character of the buried on Tomb No.44.

Ⅰ. 머리말

Ⅱ. 연구대상의 선정과 연구방법

Ⅲ. 44호분 순장곽의 분석

1. 유구별 검토

2. 속성별 분석

Ⅳ. 44호분 순장곽의 매장패턴

1. 매장패턴의 해석

2. 매장패턴의 검증

3. 매장패턴의 적용을 통한 정보복원

Ⅴ. 44호분 순장곽순장의 종합적 검토

1. 순장곽의 매장패턴이 갖는 의미

2. 순장곽의 배치와 순장자의 성격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