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석부 연구

A Study on the Neolithic Stone Axes of Southern Korea

  • 188

본 연구는 한반도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석부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우선 석부의 형식 분류는 주관성이 가급적 배제된 속성을 사용하여 계층적인 형식 분류안을 제시하였다. 시간적인 양상은 기존의 편년안을 세분하여 변화상을 검토하였으며, 시기별로 확인되는 형식 간 비율을 바탕으로 크게 두 시기(I, II기)로 구분하였다. 획기가 되는 구체적인 시기는 전기 후반으로 형식상 타제중형Ia식의 비율 급증 및 타제중형IIb식과 인부대형IIb식의 비율 및 수량의 급감이 확인되었다. 공간적인 양상은 석부 형식 간 조합양상에 초점을 맞추고 구분된 석부의 시기별 양상을 검토하였다. 석부I기는 동해안, 남해안, 제주지역으로 석부II기는 서해안, 서남내륙, 동남해안, 제주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구분은 결국 각 지역이 가지는 유적의 입지와 높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 기종별 석부양상에서는 사용흔 분석 및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신석기시대 석부를 굴지구, 벌목구, 가공구로 구분하고, 각 기종이 분기된 시기와 구분된 지역권에서 어떠한 차이가 확인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굴지구는 시기 간 형태와 파손비율에서 차이점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굴지구 용도의 차이와 형태적 정형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굴지구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구체적인 시기와 지역은 전기 후반 동남내륙지역으로 보았으며, 생업상 초기농경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남부지역의 벌목구와 가공구는 도서・해안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인부대형IIb식은 이러한 양상을 가장 잘 반영하는 형식으로 남해안식 인부마제석부로 명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chronologically, the stone axes of the Neolithic Period that have been found within th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Chapter II, in an attempt to present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cheme, the existing scheme of typological classification was taken on board and use wear analysis was carried out as actively as possible in undertaking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Neolithic stone axes. In Chapter III, I identified two temporal stages based on the ratio of the axe types. The turning point was the second half of early phase, which witnessed a rapidly increasing ratio of the Chipped Medium Ia type and a rapid decrease in the ratio and volume of both the Chipped Medium Ib type and the Edge shape Large IIb type. The spatial aspect of the axe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different composition of the assemblages, and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axes were examined as well. In the initial and second stage, the stone axes can be divided into several regions: the eastern regio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nd Jeju Island; the western region, the east-southern coastal region, the southwest inland region and Jeju Island. In Chapter IV, on the basis of use wear analysis and the achievem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the stone tools were divided into digging-tools, felling tools, and woodworking-tools; the spatial and temporal differences for each category were then considered. As a resul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tandardization of digging-tools took place in the second stage. This standardization occurred at the Salnae site, located in the southeastern inland reg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early phase, and it is possible that this was related to plant cultivation. Meanwhile, felling-tools and woodworking-tools are distributed in the coastal and insular areas. A good example, in particular, is the Edge shape Large IIb typ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outhern coastal style polished stone axe.

| 목차

Ⅰ. 머리말

Ⅱ. 형식 분류

Ⅲ. 석부의 시·공간적 양상

1. 시간적 양상

2. 공간적 양상

Ⅳ. 기종별 변화 양상과 의미

1. 굴지구

2. 벌목구

3. 가공구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