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蕨手型 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

Vicissitudes and Meanings of Bracken Egged Tool with Barbs

  • 272

본고에서는 낙동강 동안지역에서 다수 확인되는 蕨手型 有刺利器를 대상으로 變遷과 副葬 意味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유자이기의 출현은 3세기대에 판상철부를 소재로 한 것에서 출발하지만, 이후 鐵鋌을 소재로 한 유자이기가 판상철부 소재 유자이기를 대신하여 제작되고,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며 변화하면서 낙동강 동안 전역으로 확산된다. 유자이기의 변천은 蕨手型 刺 형태, 刃部 幅, 身部 형태 등 세 가지의 속성에서 잘 드러나며, 속성분석 결과 변천과정은 7기로 나뉜다. 유자이기는 그 소재가 되는 철정의 변화에 따라 소형화되고 자의 형태도 점차 단순화되는 특징이 보인다. 한편 변화과정에 있어서도 일부 지역적 차이가 보인다. 이른 시기로 편년되는 유자이기의 경우 규모나 부장품에 있어서 우월한 부장양상을 보이는 대형분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피장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의미를 가지고 부장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위세품으로서 권위는 점차 약해지고 대형분에서 소형분까지 전반적으로 부장된다. 형태에 있어서도 소형화, 단순화되며 석실분 단계부터는 점차 소멸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판상철부를 소재로 하여 공부는 있지만 궐수형 자가 없는 형태의 鑿形鐵器와 板狀鐵器는 궐수형 자를 제외한 나머지 형태로 보면 유자이기와 매우 유사한데 이러한 철기는 그 형태상 살포의 조형이라 할 수 있다. 궐수문양 장식의 철기는 목관묘 단계의 마구류에서 처음 확인되고, 목곽묘 단계에서는 철검, 철모, 철부, 철겸 등에서 확인된다. 다양한 철 제품에 궐수형 장식이 추가되는 현상은 궐수문양이 가지는 상징성으로 보아 의기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궐수형 유자이기는 피장자의 경제 권력을 상징하는 살포라는 위세품에 궐수형 장식이라는 제의적 의미가 더해져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egged tool with barbs’ is generally known as an iron artifact which has a wooden bar socket at the bottom, bracken, spine or bird decorations, and which is symmetrically edged with rectangular iron plates. The bracken decoration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bronzewar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first use of decorative bracken on an iron object was its application to harnesses in the wooden coffin tomb stage. Subsequently, upon entering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the decorative bracken was used for ritual objects and was gradually extended to a variety of artifact types. The ornament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egged tool with barbs could be sorted into those shaped like a bracken or those shaped like a spine. Egged tools with barbs with decorative bracken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Nakdong River. The egged tools with barbs originated from flat iron axes around the 3rd century CE. From 4th century, iron ingots were used in the egged tools with barbs, and the changes observed in egged tools with barbs showed a certain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is article, the diachronic change of egged tools with barbs using iron ingots is presented through a stylistic study. Three time-sensitive attributes were extracted for chronological recording. The chronological recording consisted of 7 stages and time of appearance, and showed a similar pattern of change with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earthen wares or ancient tomb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is classification in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iron wares, but not earthen wares.

Ⅰ. 머리말

Ⅱ. 屬性과 型式

1. 屬性 檢討 2. 分類基準 3. 型式

Ⅲ. 時空的 展開過程

1. 分期

2. 有刺利器 副葬 古墳의 樣相

3. 地域的 樣相

Ⅳ. 出現과 그 意味

1. 蕨手型 有刺利器의 出現과 展開

2. 蕨手文樣 裝飾으로 본 有刺利器의 性格

3. 有刺利器의 副葬意味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