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黃海道 地域의 舊石器遺蹟

Paleolithic Sites in Hwanghae Province, North Korea

  • 146

黃海道 지역에서는 1920년대 중반에 이미 선사시대의 동물화석이 출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1960년대 후반 이후에는 海象洞窟(平山郡), 청파대洞窟(黃州郡), 랭정洞窟(苔灘郡) 등과 같이 석회암지대에 위치한 동굴유적에서 구석기 시대의 퇴적층이 발굴되었다. 해상동굴유적에서는 오직 동물화석만이 출토되었다. 반면에 청파대동굴유적과 랭정동굴유적에서는 풍부한 동물화석과 함께, 인류화석 및 석기 등이 모습을 드러냈다. 북한에서는 청파대동굴과 랭정동굴에 쌓여 있는 퇴적층의 형성 시기를 밝히기 위하여 다양한 절대연대측정법(열형광법, 우라늄계열측정법, 전자스핀공명법, 핵분열흔적법, 고지자기측정법 등)을 응용하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는 두 유적의 연대를 설정하는 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절대연대측정법, 동물화석, 고인류학적인 증거를 통하여 축적된 자료에 근거하여 청파대동굴유적과 랭정동굴유적의 퇴적물은 후기 갱신세, 곧 MIS 5기에서 MIS 2기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청파대동굴유적에서 후기 구석기시대의 시작은 약 6만 년 전에 해당하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후기 구석기시대의 지층에서는 신인(Homo sapiens) 단계의 인류화석이 출토되었다. 그리고 구석기시대 중기와 후기의 퇴적층에서 주먹도끼를 비롯하여 수많은 석기 종류가 발굴되었다. 청파대동굴에서 얻은 절대연대값의 신뢰도 문제는 앞으로 다양한 자연과학적 접근 방법을 근거로 하여 검증될 필요가 있지만, 이 유적에서 설정된 후기 구석기시대의 시작 연대는 한국에있어 중기 구석기시대에서 후기 구석기시대로의 이행 과정을 이해하는 데 흥미로운 논란거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Prehistoric animal fossils are known to have been discovered in the mid 1920s in Hwanghae Province. After the late 1960s, Paleolithic materials deposited in cave sites located in limestone areas, such as Haesang Cave (Pyongsan County), Chongpadae Cave (Hwangju County), and Raengjong Cave (Taetan County), were excavated in the same region. While only animal bones were unearthed from the Haesang Cave site, human remains and lithic materials in conjunction with abundant animal fossils were excavated from the Paleolithic sites of Chongpadae Cave and Raengjong Cave. It can be noted that North Korean scientists employed different dating methods (Uranium-Series Dating, Thermoluminescence Dating, Fission-Track Dating, Electron Spin Resonance Dating, Palaeomagnetic Dating) in studying the formation period of Chongpadae Cave site and Raengjong Cave sit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two cave sites give us useful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to help establish a chronological timescale. On the basis of the absolute dates, biostratigraphic method, and paleoanthropological evidence, the deposits accumulated in Chongpadae Cave and Raengjong Cave are understood to have been formed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between MIS 5 and MIS 2. Recent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North Korea suggest that the beginning of the Upper Paleolithic, represented in layer 8 of the Chongpadae Cave site where Homo sapiens fossils were unearthed, can be evaluated to about 60 ka BP. Bifaces were excavated from the Middle and Upper Paleolithic level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absolute dating results of the Chongpadae Cave site with different scientific approaches, the chronological framework established at the Chongpadae Paleolithic site will be an interesting topic of considerable debate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Middle-Upper Paleolithic transition process in Korea.

Ⅰ. 머리말

Ⅱ. 平山 海象洞窟遺蹟

Ⅲ. 黃州 청파대洞窟遺蹟

Ⅳ. 苔灘 랭정洞窟遺蹟

Ⅴ. 綜合檢討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