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魚類耳石을 利用한 季節性硏究

Seasonality of fishing and site occupation based on growth increment analysis of the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otoliths recovered from archaeological sites

  • 130

본 연구에서는 시흥 오이도패총(始興烏耳島貝塚: 신석기시대), 군산 남전패총(群山南田貝塚: 원삼국시대), 통영 연대도패총(統營烟臺島貝塚: 고려시대층), 군산 가도패총(群山駕島貝塚: 백제시대), 인천 오류동유적(仁川梧柳洞遺蹟: 근대 패각층)에서 출토된 총 9점의 어류 이석에 대해 어종을 동정하고 계절성 연구를 시도하였다. 9점의 이석 가운데 연대도패총 이석 1점은 대구(Gadus macrocephalus) 이석이었고, 가도패총 이석 1점은 수조기(Nibeaalbiflora) 이석이었으며, 나머지 7점(오이도패총 1점, 연대도패총 1점, 오류동유적 1점, 남전패총 4점)은 참조기(Pseudosciaena polyactis) 이석으로 동정되었다. 참조기 이석 가운데 4점(오이도패총, 남전패총, 연대도패총, 오류동유적 출토)에 대하여 어로 및 유적 점유 계절성을 밝히기 위해 단면을 잘라 성장선을 관찰하고, 연변부지수(marginalindex)를 산출한 다음 과거의 성장 패턴이 현재와 같다는 가정하에 현생 표본의 월별 연변부지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물고기가 채포되어 죽은 시점에 형성된 이석 시료의 최외층 성장선은 불투명대(opaque bands) 상태여서 성장이 빠른 계절에 채포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현생 표본의 월별 연변부지수 변화를 고려할 때 연대도패총의 참조기 시료는 6월에서 7월 사이에, 서해 연안 유적의 참조기는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연중 점유되었을 원삼국시대~근대의 유적인 남전, 연대도, 오류동유적은 논외로 하더라도, 신석기시대의 오이도 유적은 여름-가을철에도 어로를 위해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Fish species were determined by analysing the morphology of nine otolith samples recovered from four shell middens ─ Oido (Neolithic Period), Namjeon (Proto-Three Kingdom Period), Yondaedo (Goryeo Dynasty) and Gado A (Baekje Period) ─ and from a shell layer from the Oryu-dong site (Modern). The nine otolith sampl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sample from Yondaedo came from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1 sample from Gado came from the white flower croaker (Nibea albiflora); 7 samples (one from Oido, one from Yondaedo, one from Oryu-dong and four from Namjeon) came from the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Growth increments of the four fish otolith sample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recovered from Oido, Namjeon, Yondaedo and Oryu-dong sites, respectively,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fishing and site occupation. The otolith samples were sectioned to examine growth increments and the marginal index of the samples was calculated. The growth increments located at the edge of the archaeological samples, which were deposited at the time of fish capture, show wide opaque bands corresponding to the fast growth season.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marginal index of modern specimens, it can be inferred that fishing at the Yondaedo site occurred in June-July; at the other three sites located on the western coast, fishing occurred in the summer-fall. Apart from the three sites which belong to the later period and were possibly occupied all year rou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Neolithic Oido site was exploited at least intermittently for fishing in the summer-fall.

Ⅰ. 머리말

Ⅱ. 耳石을 利用한 季節性硏究

Ⅲ. 遺蹟出土耳石의 成長線分析

1. 種同定

2. 分析試料및 出土遺蹟

3. 成長線分析

4. 結果

Ⅳ. 漁撈및 遺蹟占有季節性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