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湖西地域支石墓의시·공간적특징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the Hoseo Region Dolmens

  • 193

한국 청동기시대 이해에서 지석묘가 차지하는 비중을 재차 강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청동기시대 어떤 문화요소보다도 연구의 역사가 길 뿐만 아니라, 최근까지 관련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호서지역에서 만큼은 그렇지 못하다. 획기적인 사회문화적 변화상을 경험했던 청동기 시대 전-중기 전환기에 대한 연구에서 호서는 가장 비중있게 다루어지는 지역이다. 최근 몇몇 연구들은 지석묘의 축조가 이 전환기와 부합할 가능성이 있으며,그 물질문화의 확산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호서지역 지석묘 연구의 미진함은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할수도 있게된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통합적이해의 첫걸음으로, 호서지역 지석묘의 광역적 분포상과 축조의 시간성에서 보이는 특징을 파악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지석묘의 하천유역별 분포, 개체수와 상석규모에 대한 군집양상, 형식의 지역별 편차, 지석묘의 구조와 유물에 대한 공간분석, 통계분석, 형식학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고 최종적으로는 호서지역 지석묘의 광역적 분포상의 변화와 축조의 속도(tempo)에 대한 예찰로 이어진다. 호서지역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전기말-중기초에 집중적으로 조영되는데, 그 지역적 중심 혹은 최대밀집은 계속해서 충남남서해안에 있으나, 대전 및 충북지역으로 활발하게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巨石記念碑的 매장문화의 급속한 확산 또한 호서지역 청동기시대전-중기 전환기의 특징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하겠다.

It seems not necessary to emphasize how important studying dolmens─ megalithic tombs─is in understanding Korean Bronze Age culture. Studies on dolmens have a longer history than any other component of the Korean Bronze Age. The dolmens from the Hoseo region, however, have not been rigorously investigated. The Hoseo region has been a key area of focus for Korean archaeologists studying the sociocultural changes in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to Middle Bronze Age. Some of them have recently begun to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these dolmens in the Korean Bronze Age landscape is parallel, temporally, to this transition, and that the Songgukri-type assemblages which characterize the material culture of the Hoseo region’s Middle Bronze Age were accompanied by dolmens in their spread to the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light, passiveness in the study of the dolmens of the Hoseo region may be regarded as hindering a holistic approach to the important sociocultural changes of the Korean Bronze Age. As a first step in such a holistic approach, I attempt to explore some aspects relevant to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dolmen construction in the Hoseo region, analyzing hydrological data,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Hoseo region dolmens, their formal attributes and their burial goods. The analyse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assessment of the tempo of dolmen construction and the spatial expansion of mortuary practices favoring megalithic monumentality. I conclude that the construction of dolmens was highly concentrated around a relatively short time span, from the end of the Early Bronze Age to the beginning of the Middle Bronze Age, and that it spread northeastwards within the Hoseo region.

Ⅰ. 序論

Ⅱ. 호서지역 지석묘의 분포상 특징

1. 호서지역 지석묘의 분포 현황

2. 호서지역 지석묘의 하천유역별 분포양상

3. 호서지역 지석묘의 광역적 분포양상과 지역편차

4. 호서지역 지석묘의 군집 내 양상

Ⅲ. 호서지역 지석묘의 구조 및 유물부장의 특징

1. 호서지역 지석묘의 구조상 특징

2. 호서지역 지석묘 부장양상의 특징

Ⅳ. 호서지역 지석묘 축조의시·공간성에 대한 예찰

Ⅴ. 結論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