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新羅初期石室墳의 樣相

A Study of the early stone chamber tombs with entrance of the Shilla

  • 278

이 논문은 6세기 전반기 이전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 적석목곽분이 축조되고 있을 때 낙동강 이동지방에서 축조되고 있었던 초기 횡혈식석실분의 유형, 구조, 장법, 계보, 그리고 이들과 경주 석실분과의 관계를 살피고자 한 것이다. 낙동강 이동지방에 횡혈식석실분이 수용되기 시작한 것은 5세기 전반기부터이며 신라에서는 중앙보다는 지방에서, 중앙귀족보다는 지방세력이 횡혈식석실분을 먼저 수용하였다. 중앙보다는 지방이 새로운 묘제의 수용에서 개방적이었던 것이다. 신라 초기 석실분의 유형과 구조는 신라 후기 경주의 석실분으로 계승·발전되었다. 그러나 신라 초기 석실분의 장법은 당시 수혈식 묘제의 장법을 따르고 있었다. 백제의 초기 석실분과 신라의 초기 석실분은 그 세부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것은 백제의 초기 석실분이 낙랑·대방고지의 전축분계 석실분에서, 신라의 초기 석실분이 고구려 석실분에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이었다. 서울 강남지역 석실분에 대해서 최근 한성기 백제축조 후 신라 재사용설이 제기되었으나 근거가 없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identify the types, structures, burial modes and its historical derivations of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with entrance in the east of Nakdong river which construct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when the wooden chamber with stone mound tombs had been constructed in Kyungjoo, the capitol of the Shilla, and to clarify their relations to those of the stone chamber tombs in Kyungjoo area. In the east area of the Nakdong river, were introduced the stone chamber tombs with entrance from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which found general acceptance first in the periphery rather than in the core, and first among the local gentry rather than among the central aristocrats. Accepting the new burial system, the ruling classes in the periphery were more open than those in the core. The types and structures of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Shilla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in the stone chamber tomb in Kyungjoo area at the period of the later Shilla. However, the burial modes of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followed the burial system of the vertical entrance style tomb. There were many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Baikje and that of the Shilla.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fact that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Baikje originated from the brick chamber tomb with entrance of the Lo-rang, whereas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Shilla took its origin in the stone chamber tomb of the Koguryo. Finally, I think the latest thesis on the stone chamber tomb in Kangnam area of Seoul to be historically unsupported that insists on the re-use of the stone chamber tomb of the Baikje builded in the Hansong phase by the Shilla for their convenience.

Ⅰ. 머리말

Ⅱ. 新羅初期石室墳과 그 編年

1. 調査遺蹟

2. 編年

Ⅲ. 新羅初期石室墳의 考察

1. 新羅의 石室墳受用時期

2. 新羅初期石室墳의 構造

3. 新羅初期石室墳의 葬法

Ⅳ. 新羅와 百濟의 石室墳受用과 그 系譜

1. 新羅와 百濟初期石室墳의 構造差異

2. 新羅와 百濟石室墳의 系譜

3. 서울 江南地域石室墳의 性格再論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