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中國東北地方石室封土壁畵墳의 地域的特徵에 對하여

On the Wall Painting Tomb with Stone Chamber and Earthen Mound of Northeastern China

  • 148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이 중국 동북지방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중국 동북지방 석실봉토벽화분이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중국 동북지방의 석실봉토벽화분은 遼河를 경계로 遼東의 요양일대와 遼西의 朝陽일대에 집중분포하며, 양 地域의 석실봉토벽화분은 구조와 벽화내용에서 차이를 보인다. 요동지역의 석실봉토벽화분은 後漢末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魏·晉代에 집중 축조되었다. 무덤은 관실 병렬배치구조로 가족장의 성격을 띠며, 벽화의 주제재는 墓主의 현실 생활이나 생산활동 관련 제재는 없고, 천상세계에는 승선관념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 中原이나 요서지역 및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과 차이를 보인다. 요서지역의 석실봉토벽화분은 4세기 중엽부터 5세기 초 사이에 축조되었다. 무덤은 부부 일실 합장의 단실무덤으로, 벽화는 벽면에 묘주 현실생활을 그리고, 천장에는 천상세계를 그렸다. 이러한 벽화내용과 배치는 요양일대를 제외한 중국 여타지방의 묘실 벽화와 유사하다. 4세기 중엽이후에 등장하여 6세기대에 걸쳐 조성된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도 종렬배치 구조나 벽화내용에서 요동 및 요서지역과 상사점, 상이점을 보여준다. 이렇듯 중국 중원과는 달리 돌을 축조 재료로 한 요동, 요서 및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은 묘실 벽화의 커다란 제재는 중원과 유사하나 구조와 벽화의 세부 내용에서 상사, 상이점을 보인다. 각기 다른 역사, 문화배경을 가진 이들 지역에서 석실봉토벽화분이 보여주는 상사, 상이점은 동북지방의 석실봉토벽화분이 중원으로부터 단선적 영향으로 등장하였다기 보다는 해당지역의 역사, 문화적 환경이 석실봉토벽화분 축조에 작용하였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 또한 중국 동북지방으로 단선적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There are some wall painting tombs in North-East Asia. The wall painting tomb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in terms of building materials; one is brick layed and the other is stone built. The wall painting tombs layed by brick were mainly distributed in Mainlands of China(中國中原) and the wall painting tombs which had stone chamber and mounded by earth are found in Northeastern China and Koguryo. In east-northern China, stone chambered wall painting tombs were representative of wall painting tombs of Wei (魏)-Jin(晉) dynasty and in Koguryo wall painting tombs were representative mural painting of 4∼6th century A.D.. Therefore it is said that wall painting tombs in Northeastern China had impacts on Koguryo in general. As though the tomb s building materials were common in Northeastern China and Koguryo, the wall painting tombs in east-northern China and Koguryo are different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tents of wall painting. In respect to tomb s plan, tomb s plan of Liaodung (遼東) area was parrel plan which was similar to the tomb of East Han and in Liaoxi (遼西) area, one chamber was popular which plan was similar to tomb of Xianbei (鮮卑) tribe. And the tomb s plan of Koguryo was more similar to brick layed tomb of Lo-lang (樂浪) rather than Northeastern China. And some factors of the wall painting tomb were similar between Northeastern China and Koguryo, which were similar to mural painting of Mainlands of China during East Han (東漢) dynasty. But in the wall painting s contents and lay o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each other. Therefore these indicates that the common feature of wall painting tombs because it was influenced by Han dynasty in Mainlands of China. And there were little similarity in tomb s plan and the contents of wall painting because there were different cultural and historical tradition in Northeastern China and Koguryo. Eventually the wall painting tombs of Koguryo had not derived from Northeastern China only.

Ⅰ. 머리말

Ⅱ. 석실봉토벽화분의 개관

1. 요동지역

2. 요서지역

Ⅲ. 석실봉토벽화분의 특징

1. 구조특징

1) 묘실 평면형

2) 묘실 평면형별 상관관계

2. 묘실 벽화

1) 벽화내용

2) 평면형과 벽화내용에 따른 선후관계

3. 조양과 요양일대 석실봉토벽화분 비교

Ⅳ. 주변지역과의 관계

1. 중국 중원지방

2. 고구려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