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공간분석방법의 고고학적 활용과 문제점

Problems on the Spatial Analysis in Archaeology

  • 201

유물이나 유적의 분포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는 공간분석방법은 고고학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중 몇 가지 구체적인 방법은 우리나라의 고고학 자료에도 적용되었고, 이에 대한 관심도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간분석방법이 항상 유익한 고고학적 지식을 약속해 주지는 않는다. 믿을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 방법의 기본가정과 개념을 고려하고, 세부 실행과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내재된 한계를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 부문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연구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유의할 점 혹은 대안을 검토하였다. 자료의 기본적 처리에 대해서는 범주화를 거치기보다 주어진 공간적 정보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점분포유형분석에 대해서는 통계적 검증시 유의해야 할 점, 그리고 검증결과와 문화적 해석간의 관련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리적 모델 중 가장 널리 적용된 중심지이론은 전제조건과 기본원리가 실제 여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고학적 활용에 상당한 주의를 요구하며,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There has been a remarkable growth in the number of spatial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Although various kinds of spatial analysis have succeeded in retrieving valuable information otherwise neglected, it is not uncommon that they were applied archaeologically without proper evaluation of their validity. Problems related with spatial analysis in archaeology were discussed; cautions against misuse were provided; and some possible solutions were suggested. Fir st part is concerned with categorization of spatial data originally coded in interval scale. Conventional agglomeration, sometimes associated with x2 test , leads to the los s of spatial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of interpretation. Therefore such techniques as correlation analysis, contour mapping, and trend surface analysis, all of which deal with numerical data measured at least in interval scale, were recommended as a basic tool to examine spatial data and to find underlying structures. Secondly, quadrat method involving x 2 test , one of the most popular technique in point pattern analysis for it s simplicity, needs to be applied with great care. Because x2 test is sensitive to small cell frequencies, combining some of the classes is required to make the test acceptable when expected frequencies work out at more than twenty per cent of the cells or when any cell has an expected frequency of less than one. Final discussion deals with geographical models. Central place model, among other s,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from archaeologist s . It s basic assumptions such as isotropic landscape, principles of classical economics, etc., however , hardly conform to archaeological data. Therefore particular environmental factor 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testing goodness of fit between archaeological data and the one expected from central place model. In Korea, especially, where settlement s developed along the river valley, dendritic model seems more plausible in explaining the distribution of ancient settlement s .

Ⅰ. 머리말

Ⅱ. 위치자료의 범주화문제

Ⅲ. 점분포유형분석의 문제

Ⅳ. 중심지이론의 적용문제

1. 기본원리와 문제점

2. 고고학적 활용사례의 검토

3. 타당성 검토와 유의사항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