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APIM 모델 적용

Mindfulness, Conflicts with Parents-in-Law, and Marital Satisfaction: Applying the Actor-Partner Independence Model

  • 372
139716.jpg

본 연구는 부부간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마음챙김이 조절하는지를 상호작용 관점에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40대 기혼부부 192쌍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18.0으로 APIM 분석방법을 적용하고,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ing 접근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 수준은 부인이 남편에 비해 높았으며, 마음챙김 수준은 남편이 부인보다 높았고, 결혼만족도는 남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이 본인의 결혼만족도와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부인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남편은 부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 보다 자신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이 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부인은 남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에 의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인과 남편 모두 마음챙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섯째, 남편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자기효과가 확인되었고, 남편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편의 마음챙김이 높은 집단은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부는 남편의 배우자 부모와의 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남편의 마음챙김에 따라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onflicts with parents-in-law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if mindfulness has an effect on this associ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192 married couples in their 20s, 30s, and 40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and with Ping’s approach to path analysis. Results: First, while the husbands’ conflict with parents-in-law had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s, th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of both the husband and the wif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more strongly affected by their own conflict with the parents-in-law than the wife’s conflicts with parents-in-law; however, the wives’ marital satisfaction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husband’s conflicts with parents-in-law. Third, both the wife’s and the husband’s mindfulness had no significant actor and partner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Fourth, the husband’s mindfulness had significant moderating actor and partner effects. Fifth, higher levels of husbands’ mindfulnes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husbands’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s: Couples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husband’s conflict with parents-in-law, and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varied in relation to the husband’s mindfulnes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