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高句麗故地의 渤海古墳

On the stone-chambered tombs of Balhae excavated from Liaoning Province, China

  • 242

발해 석실분이 고구려 석실분과 계승관계를 갖고 있다고 인정하지만,정작 고구려 고지였던 중국 요령지방의 발해 석실분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글에서는 중국 요령지방의 고구려 고분으로 보고되었던 무순 시가고분과 심양 석대자산성 주변의 고분,중국 한대 고분으로 보고되었던 환인 봉명석실분의 구조와 장속,부장품을 검토함으로써,이 고분들이 발해의 8세기 후반경을 전후하여 조성된 고분임을 밝히고 무순 전둔 고분군도 발해 고분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고분이 위치한 무순과 심양, 환인 일대는 고구려의 중요 거점지로서 이곳에서 조사된 석실분은 구조와 다인합장이나 화장 등의 장속과 청동제 허리띠 장식과 청동제 산형 뒤꽂이 등의 부장품에서 발해 고분과 특징을 공유한다. 특히 이 부장품들은 중국 당나라 중기의 특징을 갖고 있는 개원통보와 공반되었을 뿐아니라 토기와 등자 등 고분 출토 유물들이 발해 전기 고분 부장품의 특징을 갖고 있어서 중국 요령지방의 발해 석실분 조성의 중심 시기를 8세기 후반경으로 비정하였다. 무순 전둔 고분군도 이러한 특징을 갖고 있다. 중국 요령지방의 발해 석실분은 구조와 장속의 일부에서 고구려 고분과 특징을 공유하는 반면,말갈과의 관련은 보이지 않으므로,고구려와 직접 계승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분 조성의 중심시기와 고구려 멸망과는 시간적 간격이 있으며,이는 고구려 멸망 이후 이 일대를 둘러싼 당과 고구려 유민 그리고 발해의 고구려 고지 회복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앞으로 고구려 고지의 발해 석실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조사하게 된다면 발해의 고구려 계승 관계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며, 발해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이 보다 객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one-chambered tombs located in Liaoning Province, China, which were built under Balhae, rather than Goguryeo, rule. The material considered consists of stone-chambered tombs excavated from the sites of Huanren Fengming, Fushun Shijia, and Shenyang mountain fortress at Shitaizi in Liaoning Province, China, which were dated to the Han Dynasty of ancient China or the mid to late Goguryeo periods. The tomb structure, burial pattern and burial goods of these stone-chambered tombs from Liaoning province were examined. The Goguryeo and Balhae tombs of Liaoning Province share similarities in terms of tomb structure, but the practice of multiple burials and some types of burial goods not present in Goguryeo tombs appear in Balhae tombs. In particular, the bronze ornament hairpin with mountain shaped decoration and the bronze decorated belt, both of which are represented in Balhae tombs, have not been excavated from Goguryeo tombs. The burial of several deceased individuals within the same chamber was also a typical custom of Balhae funerary tradition.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Gaewontongbo’ coin, as well as burial typology, the central date of the stone chambered tombs of Liaoning Province, China, can be estimated to the mid-eighth century AD. It can therefore be suggested that the Liaoning Province stone chambered tombs were built during Balhae rule. The stone-chambered tombs of Liaoning Province, China, thus suggest that the eastern border of Balhae was located in the Liaodong area and that the tomb builders were associated with the Goguryeo and Balhae states. The gap in time between the fall of Goguryeo and the commencement of tomb building in the Liaoning Province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events concerning Goguryeo refegees, the Tang Dynasty and Balhae which took place in the Liaodong area after the fall of Goguryeo.

| 목차

Ⅰ. 머리말

Ⅱ. 발해 석실분과 중국 요령지방 석실분

1. 발해 석실분의 구조와 장속

2. 중국 요령지방의 석실분

3. 발해 석실분과 중국 요령지방 석실분의 비교

Ⅲ. 중국 요령지방의 발해 석실분

1. 고구려 고분설 검토

2. 석실분의 조성 시기

3. 발해 석실분과 고구려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