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ublic stigma against mental patients and mental patients’ perceived stigma. Methods:549 members of general population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ental mental patients, while 377 mental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perceived prejudice,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a coping orientation to social stigma. Results:The mental patients perceived prejudice more compared to public prejudice toward the mental patients. And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less compared to public’s practice of discrimination against mental patients. Also mental patients used passive-avoidance coping orientation against social stigma. Conclusion : This study concluded that consumer empowerment program for mental patients is just important as anti-stigma campaign.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3)
- 정신분열병과 Neuregulin 1 유전자의 연합연구
- 만성 강박장애 환자의 정서처리 특성:정신분열병 환자 및 정상인과의 비교
- 알코올 의존 환자의 알코올 관련 자극에 대한 암묵적 정서 평가
-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스티그마와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스티그마의 비교 연구
- 기질 특성이 청소년기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만화 과제를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인지 능력의 측정
- 학술지“신경정신의학”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의 실제
- 정서 상태와 기분 일치/불일치 변인이 정신병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중국 한족과 조선족 초등학생의 신체 폭력 경험(Ⅰ):민족간의 유병률 차이
- 공황장애 환자에서 약물 치료와 심박동수 변이(Heart Rate Variability)의 관련성
-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정서 및 행동 증상
- 알코올 금단 증상의 치료에서 Topiramate의 효과 및 안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