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Objectives:Recently,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is known to be related with neurotransmitter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β-adrenergic recep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IBS and to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β-adrenergic receptor function and anxiety in IBS patients. Methods:Eighteen IBS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e same number of age and sex-matched normal subjects in terms of β-adrenergic receptor function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flecting anxiety levels. To assess β-adrenergic receptor function, Chronotropic 25 dose (CD25) was calculated via isoproterenol stimulation test. Results:CD25 values in the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ich reflected increased β-adrenergic receptor function (2.19±1.08 versus 3.89±1.64, p<0.05). Patients with IBS showed higher HAM-A scores (8.88±4.88 versus 3.59±2.65, p<0.01), HAM-D scores (6.41±4.02 versus 2.47±2.40, p<0.01), BDI scores (9.00±6.21 versus 4.72±4.30, p<0.05), and STAI scores (STAI-S:43.41±6.34 versus 33.83±8.18, p<0.01, STAI-T:44.65±7.43 versus 38.17±8.45, p<0.05). In addition, HAM-A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D25 values in the patient group (r=-0.424, p<0.01).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β-adrenergic receptor function is increased in patients with IBS, which could affect increased anxiety levels in these patient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A Case Series of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in 30 Psychiatric Patients:Korean Experience
- 신경정신의학의 모델로서 Alzheimer병
- 사회공포증의 하위 유형에 따른 성격특성의 차이
- 지역사회거주 노인에서 한국어판 세계보건기구 장애평가조사표의 개발
- 제주도 농촌지역 주민들의 음주습관과 우울증상 및 스트레스
-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기능의 활성도와 불안 수준
- 남한 내 탈북자들의 의식 및 생활 만족도 연구
-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유전자의 다형성
- 한국어 확장판 불안 민감도 지수의 타당화 연구
- 정신분열병과 Glutathione S-transferase P1 유전자 다형성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영문잡지‘Psychiatry Investigation’ 창간 계획
- 정신보건센터의 주간 및 직업재활 프로그램에 등록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연령군간 특성
- 한국 청소년의 공격성 관련변인 및 표출 경로
- 강박장애의 증상차원과 공존 인격병리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대한정신약물학회의 영문 학술지 창간과 관련하여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 지역사회 청소년에서 비행성향에 대한 정서 및 행동상의 관련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