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알코올 갈망 유발을 위한 알코올 관련 시각자극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Inducing Alcohol Craving

  • 42

연구목적: 갈망(craving)이란 약물의존 환자가 주관적으로 경험하여 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만드는 동 기적 상태(motivational states)를 일컫는다. 또한, 약물 사용을 중단(abstinence)하고 있는 약물 의 존 환자의 재발에 선행하는 유발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 갈망은 어떤 사람이 알코올과 관련된 사물, 환경, 감정에 노출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자극들을 알코올 관련 자극이라고 하는데, 이중 알코 올 관련 시각 자극은 알코올 갈망을 유발하는 효과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실험실 내에서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 는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을 개발하고,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시각 자극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으로 술을 대상으로 하는 정물 및 상황 칼라 사진 27장을 후보 자극으로 개발 한 후 알코올 의존 환자군,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 정상 대조군 각각 20명씩을 대상으로 알코올 관 련 시각자극을 보여주고, 알코올 갈망을 가장 많이 일으키는 자극 6장을 순서대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알코올 갈망의 정도가 가장 높은 사진에 1위를 주고 그 다음 사진은 각각 2, 3, 4, 5, 6위, 그리고 선택 되지 않은 사진에는 모두 7위를 주어 각 군에서 가장 순위의 합이 낮은 사진 3장씩을 각 군에 따른 알 코올 관련 시각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세군을 대상으로 가장 강력한 갈망감을 유발하는 술의 종 류, 상황, 복잡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 알코올 의존 환자군에서는‘소주가 담긴 소주잔’,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에서는‘회식장면 Ⅱ:술잔 부딪히는 장면’, 정상 대조군에서는‘맥주잔, 병, 안주’를 각각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일 으키는 자극으로 선정하였다. 2) 각 군의 시각자극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술에 대한‘정물’ 사진에서 가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고,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에서는 음주에 대한‘상황’ 사진에서 가 장 알코올 갈망을 많이 느꼈다. 즉, 알코올 의존 환자군은 술마시는 분위기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아 닌 술 자체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였고, 알코올 사용장애 고위험군은 술 자체보다는 술자리의 분위기 나 상황에 대한 기대가 음주 욕구를 자극하였다. 정상 대조군에서는 알코올 갈망을 가장 많이 일으키 는 자극이 사람마다 매우 다양하여 알코올 갈망을 유발하는 자극에 일관된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이상의 결과는 알코올 의존 환자의 경우는 고전적 조건화 과정을 통해 술 관련 자극에 대해 알코올 갈망을 느끼고, 사회적 음주자의 경우는 음주 상황에 대한 기대 또는 기억에 의해 알코올 갈망을 일 으킴을 보여준다. 이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갈망을 일으키는 기전이 사회적 음주자와 신경 생리학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Craving is the subjectively experienced motivational states inducing ongoing drug use in addicts. It also proceeds or precipitates relapse episode in drug addicts. Alcohol craving may be triggered by exposure to an object, environment, or emotion that a person has come to associate with alcohol consumption. Such stimuli are called alcohol-related cues. Among alcohol-related cue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are simple and reliable methods in inducing alcohol craving.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which induce alcohol craving reliably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in alcoholics. Methods : First, the authors developed 27 alcohol and drinking color photos as candidate stimuli. Then, 3 photos which induce alcohol craving most were chosen a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respectively by alcoholics, alcoholism high risk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The authors compared characteristics, situation and complexity of selected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among three groups. Results : 1) ‘A glass of Soju’, ‘Drinking together’ and ‘A glass of beer, a bottle of beer and a sidedish’ were chosen as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which induce most craving in alcoholics, alcoholism high risk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respectively. 2) Alcohol photo(stationary object) induced craving most in alcoholics in contrast with drinking photo(situation) in social drinkers. Alcoholics clung to alcohol per se, not to atmosphere or situation of drinking, and alcoholism high risk group felt craving by the expectation of drinking situation. Normal control group showed no consistent finding in choosing alcohol-related visual stimuli. Conclusion :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 suggests classical conditioning as psychopathological model of alcohol craving with alcoholics. In contrast with alcoholics, alcohol craving of alcoholism high risk group may be related to alcohol specific memory or positive expectancies about alcohol use. These finding may support different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lcohol craving between alcoholics and social drinker

서 론

연 구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