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증상과 연관된 임신, 분만 및 주산기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연구 -

Pregnancy, Delivery and Perinat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Community Study -

  • 17

연구목적: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ADHD 증상을 심하게 보이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ADHD증상에 대한 임신-분 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위험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대상아동들은 자립형 지방도시(진주) 한 곳에서 모집되고 평가되었다. 무작위로 선택된 10개 초등학 교의 1학년부터 4학년까지 180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로부터는 소아행동조사표와 DSM- Ⅲ-R과 DSM-Ⅳ에 기반을 둔 파탄적행동장애척도를 통해 아동 문제를 조사하였고, 담임교사로부터 는 특정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지목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부모로부터 임신-분만-주산기 문 제들을 조사하였다. 결 과: ADHD군 아동이 대조군에 비해 남아, 낮은 경제상태, 임신기의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 임신중 신체 적 상해, 분만시 난산, 겸자의 사용, 출산후 우울증 빈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과 경제상태를 통 제한 뒤 logistic regression으로 평가하였을 때 임신기 스트레스, 난산, 산후우울증 등 세 요소가 유의 한 위험요인으로 평가되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는 임신-분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환경적 위험요인들이 ADHD 증상 발현에 관여할 가 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내용이다. 향후, 유전적 위험요인과 사회 심리적 위험요인과의 상호관계를 규 명하고, 환경적 요인의 원인적 관계 여부를 규명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한 방법의 지역사회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Objectives:This community based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and perinatal factors and symptoms of ADHD. Method:1800 children from 10 elementary schools in an urban community were recruited by randomized sampling method. We evaluated the symptoms of ADHD by Child Behavior Check List,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from 2 sources(parent & teacher). A thorough evaluation of perinatal problems was carried out. Data were analyzed by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 using SPSS 10.0 window version. Result:In the pre- & peri-natal events, boy, low SES, use of forceps, emotional stress, prolonged labor time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attention deficit group compared to normal group. After controlling sex and SES, further analyses we revealed emotional stress, prolonged labor, and postpartum depression as risk factors of ADHD symptoms. Conclusion:These findings implied that pre- & perinat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could be symptom risk factors of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urther research should prove the etiological association of these factors.

서 론

연구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