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어판 강박음주갈망척도의 표준화 연구 : 신뢰도와 타당도

The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s of 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 for Outpatient of Alcohol Dependence

  • 52

연구목적: 알코올 의존 환자에 있어서 갈망은 치료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개념이지만 이에 대한 평가도구들은 매우 주 관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갈망의 강박사고와 행동에 관한 측면을 측정하는 자가 설문지인 강박음주갈망척도(Obsessive Compulsive Drinking Scale)를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어판 강박음주갈 망척도를 실시한 뒤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알코올 의존 및 남용의 치료와 연 구에 사용하기 위한 유용성과 제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외래로 내원한 알코올 의존 환자 142명을 대상으로 알코올에 대한 갈망을 측정하는 아날로그 척도와 한글로 번안된 강박음주갈망척도를 실시하여 기준 타당도 및 내적 일치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무작위 추출에 의해 환자 들을 항갈망약물 투여군과 위약 투여군으로 나누었으며 이중 맹검법을 시행하여 약물 투여 이후 8주 동안의 갈 망의 정도를 강박음주갈망척도와 아날로그 척도로 측정하였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척도 점수의 변화와 음주행 동과의 연관성을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약물 투여 전 입원 중인 제독이 끝난 알코올 의존 환자 40명에게 1일의 간격을 두고 강박음주갈망척도를 두 번 시행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OCDS 14개 항목의 내적 일치도(internal Consistency)는 0.8947(Crohnbach’s α계수)로서 문항간의 연관성 과 일치성이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는 총점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가 0.76(p<0.01)이고 그룹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는 0.86(p<0.01)으로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OCDS의 아날로그 척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는 상관 분석시 0.52(p<0.05) 의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특히 강박사고 소척도의 상관계수가 각각 0.61로서 강박행동 소척도와의 상 관계수(0.34)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8주 후 각각 음주재발군과 금주군으로 나눈 뒤 8주 동안 두 군간의 강박 음주갈망척도의 변화를 반복변량 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두 군간의 강박음주갈망척도 총점의 차이는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 론 : 한국어판 강박음주갈망척도는 원척도와 매우 높은 정신척도적 유사성(psychometric resemblance)을 가진 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음주행동을 반영하였다

Objectives: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the limitation of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is to be used for treatment and research on alcoholism. Methods: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One hundred forty two out-patient alcohol dependence subjects were measured of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craving with this scale. Results:For 142 tested alcoholic subjects, internal consistency among 14 items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8947(Crohnbach’s α). For 40 detoxified alcoholics, test-retest reliability of total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76 (correlation coefficient, p<0.01). In 131 alcoholic subjects, validity of total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examin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visual analogue scale(VA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2 with VAS. Especially, correlation coefficient of compulsive subscal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as 0.61 with VAS. The total sco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which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alyses of variance during 8 week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lapse group and the abstinence group. Conclusion: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shows very similar psychometric performance to the original Obsessive-compulsive Drinking Scale developed by Anton. The Korean version, therefore, is an useful instrument that reflects characteristic drinking behaviors of alcoholics.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