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집단따돌림 피해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관련된 위험인자와 보호인자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Socially Bullied Secondary Students

  • 28

연구목적: 중학생에서 집단따돌림은 학교폭력보다 훨씬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그 심각성이 과소평가되고 있다. 집단따돌 림 개입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집단따돌림으로 학교적응문제가 발생된 취약한 아동에서의 위험인자와, 따돌림을 받았으나 강건한 아동에서의 보호인자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방 법: 원주시의 중학생 128명과 학교부적응과 정신과적 증상을 주소로 원주기독병원 정신과에 내원한 65명 중 학생에게 집단따돌림의 빈도와 심각도를 묻는 설문지, 소아우울척도, Piers-Harris 자기개념척도를 시행시켰다. 일반 학생 중 집단따돌림을 당했다고 보고한 55명(남 19명, 여 36명)을 비임상군으로, 내원 학생중 집단따돌림 에 의해 학교부적응이 발생한 42명(남 21명, 여 21명)을 임상군으로 하여 따돌림의 정도, 우울증, 자기개념을 비교하였고, 성별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 과: 임상군은 비임상군에 비해 소아우울척도와 따돌림 정도에서 차이가 없었고, 자기개념과 가정환경에서 낮은 점 수를 보였다. 자기개념의 소척도 중 행동, 학업상태, 외모, 인기도, 행복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지만 불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대처방식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선형 중다회귀분석 결과, 우울증의 설명인자 로서 임상군에서는 부정적 자기개념이, 비임상군에서는 외모와 불안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상기 모든 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임상군과 비임상군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집단따돌림을 받은 후 학교부적응과 정신과적 장애가 발생한 임상군 피해아동에서 그 위험인자는 부정적 자 기개념이며,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비임상군 아동의 보호인자는 긍정적 가족관계임을 시사한다.

Objectives:Although verbal and social bullying is more common than physical school violence among secondary students, it’s harmful influences have been underestimated.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clinically referred bullied children with school maladjustment and psychiatric symptoms and the protective factors of the non-referred resilient children despite of being bullied for developing the anti-bullying program. Methods:The questionnaire asking frequency and severity of being bullied socially, Kovacs Children’s Depression Scale, and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were administered to 128 secondary students in Wonju and 65 secondary students referred for their school maladjustment to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Fifty-five students(boys:19, girls:36) of bullied non-clinical group and 42 students(boys:21, girls:21) of bullied clinical group were compared with their scores of being bullied, depression and self-concept,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those comparisons was studied. Results:More negative self-concept and poorer relationship with family were noticed in the clinical group, despite of no difference in being-bullied score and depression score between the two. Five subscales of the self-concept, behavior, academic status, appearance, popularity and happiness were more negative in clinical group, but not with anxiety subscale. With coping strategy, there was no differ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pression score was accountable by negative selfconcept only in the clinical group, and by appearance and anxiety in non-clinical group. And gender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ose all variables. Conclusion:It is suggested that the risk factor for school maladjustment occurred after being bullied socially is the negative self-concept, and the protective factor for resilient children is the supportive relationship within family.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