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일병원 간호사군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과 직업적 기능의 저하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Occupational Function in a Nurse Group

  • 47

연구목적: 가임기 여성에서 비교적 흔한 문제인 월경전기 증후군과 월경전 불쾌기분장애는 그 유병율에 비해 관심도 가 낮다. 그 이유로는 장애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나 이 장애가 유발하는 기능저하의 정도가 크지 않음을 가 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경전기 증후군과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있는 간호사들의 업무수 행능력을 알아보아 이 장애가 직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병원 간호사 1,30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DRSP(the Daily Record Severity of Problem)척도를 사용 하여 월경전기 증상을 측정하고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의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저자들이 본 연구에 알맞게 개발한 도구를 통해 업무능력을 측정하였고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자아존중 감 척도, 사회재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탈진감,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의 스트레스 사건을 측정하였다. 간호사 들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그들의 치료추구행태도 조사하 였다. 결 과: 응답자 1078명중 626명(58%)를 분석하였다. 유병율은 월경전 불쾌기분장애가 4.6%(N=29)였으며 월 경전기 증후군은 78.3%(N=490)이었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 그리고 증상이 없는 집단 각각이 겪은 일상생활 스트레스 사건의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p=0.221). 업무수행능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에서 월경전기 증후군과 무증상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기능저하가 있었다 (p<0.001). 탈진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 증후군 집단은 증상이 없 는 집단에 비해 정서적 탈진이 두드러졌으며(p<0.001) 성취욕구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p=0.124). 간호사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에 대한 치료추구행태는 주로 비약물요법과 비처방 약물에 의존하는 양상이었으며,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에서 의사의 처방을 받았다고 보고한 사람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간호사집단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은 일반인구에서의 유병율과 유사함을 알 수 있 었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이 있는 간호사 집단은 증상이 없는 집단에 비해 업무능력이 저하되며 정서적 탈진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간호사 집단은 일반인구와 같이 월경전 불쾌기분장 애와 월경전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Despite the high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premenstrual syndrom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se problems until now. Two of the possible reasons for this inattention seem to be the lack of awareness of women as a whole about these disorders and the tolerability of the functional impairments caused by the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a nurse group and to evaluate the occupational function of nurses with these problems. Methods:The cross sectional retrospective data was obtained from 1301 nurses who were employed in a hospital. Premenstrual symptoms were measured with DRSP(the Daily Record Severity of Problems). A new scale developed by authors was used to evaluate the occupational function. To measure burnout intensity, self-esteem and strength of stressful events, MBI(Maslach Burnout Inventory), Self-Esteem Scale and Social Readjustment Rating Questionnaire were used. Nurses’ attempts made for managing premenstrual symptoms were also surveyed. Results:Among 1,078 responders 626(58%)cases were analyzed. 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as 4.6%(N=29).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was 78.3%(N=490). Comparing occupational function between the groups, th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group had more impairments than the premenstrual syndrome group and no symptom group(p<0.001). Emotional burnout was prominent in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premenstrual syndrome group(p<0.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ss of ambition(p=0.124). To manage their premenstrual symptoms, nurses preferred to nonpharmacologic treatments or nonprescription drugs. None of the nurses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reported doctor’s prescriptions. Conclusion:Prevalence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in a nurse group is comparable to that in general population. The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group has more impairments in occupational function than the premenstrual syndrome group and no symptom group. Nurses have inadequate managements about their premenstrual symptoms as general population do.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