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 붕괴”현상과 부등교자에 대한 정신의학적 고찰

A Review on School System Failure (‘School Collapse’) in Korea and Its Psychiatric Implication in School Non-Attenders

  • 40

연구목적: 이 종설은 현재 한국의 청소년에게 가장 심각한 갈등 요인으로 여겨지는 학교붕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그동안‘학교붕괴’에 관한 논의가 실린 책과 논문 및 보도된 메스컴으로부터의 자료와, 이 현상과 연관되 는 주제로서 부등교자에 대한 자료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학교 제도와 한국의 부등교자에 대하여 발달학적, 정신의학적으로 고찰하였다. 결 론: ‘학교붕괴’의 현실에서 학교를 중퇴하는 청소년들의 특성이 과거와 변화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타의에 의 한 중퇴보다는 자발적 중퇴자가 더 증가하였고 이를 학교와 사회의 구조적 변화와 연관시켜 고찰하여 보았 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적응양상이 변화하고 있는 청소년을 사회 속의 개인이라는 맥락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학교를 거부하는 청소년에 관하여 그 개인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물 론, 학교구조와 사회와의 상호의존적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Objectives:This review strives to look through the reality of school situation in Korea which gives the most severe burden of conflict to adolescents nowadays, for the purpose of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Methods:Followings comprised of the summary of the materials from the published articles and books, and from mass media regarding ‘school collapse’ phenomenon in Korea, and also include materials regarding school non-attenders. And discussion was done with developmental and psychiatric perspectives on the phenomenon along with on school non-attenders. Conclusion:School non-attenders nowadays with the issue of ‘school collapse’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dropouts reported in many previous studies. Psychiatrists need to accommodate their previous view on adolescents as the way of adolescents’ coping has rapidly changed. It is noted that there are few researches regarding school non-attenders, as well as regarding school factors associated with non-attending in Korea. This review was done to call for future studies focused on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rocesse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nonattenders, so that enable us to capture the complexity of how adolescents make their decision of hangingin or droppingout of school.

서 론

한국의 학교붕괴 상황에 관한 종합

발달학적 측면에서 본 학교제도와 청소년의 불일치 현상

부 등 교 자

정신의학적 고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