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 647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스트레스반응 즉 감정적, 신체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들이 포함된 스트레스반응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 법: 일차로 성인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반응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75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로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 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7개의 하위요인 즉 긴장, 공격성,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이 추출되었 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2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7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 간의 상관계수가 .69∼.96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7 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α가 .76∼.91, 척도 전체의 Cronbach’s α가 .97이었다. 공존타당도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 90-R(SCL-90-R)의 전체지표 각각의 총점과 본 척도의 7개 하위척도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간 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간에 척도의 총점과 7개 하위 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격성을 제외한 6개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 군에서 우울장애군이 척도 전체 점수가 가장 높고, 불안장애, 정신신체장애, 정상군보다 각각 전체 점수가 유 의하게 높게 나타나 우울장애군이 이들 환자군 중에서 스트레스반응이 가장 현저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대상자들 중 여자가 남자보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척도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 론: 이상의 결과들은 스트레스반응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 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군이 상기 다른 정신장애군에 비 해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는 것을 반영해 준다.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which includes emotional, somatic, cognitive, and behavioral stress response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itice. Methods: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09 healthy adults to obtain 70 response items. Seco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5 healthy subjects. Third,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stress responses among 242 patients(71 with anxiety disorder, 73 with depressive disorder, 47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51 with psychosomatic disorder) and 215 healthy subjects. Results:Factor analysis yielded 7 subscales:tension, aggression, somatization, anger,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SRI to 62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for 7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0.69-.96.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and Cronbach’s α for 7 subscales ranged between .76-.91 and .97 for the total score. Concurr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7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scale,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 90-R).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mparing the total score and the 7 subscale scores of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6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exception being the aggression subscale.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highest in total scores of SRI among 4 patient groups, and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otal scores of SRI than each of anxiety disorder and psychosomatic disorder groups. In total scores of SRI,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ones, and subjects with lower incom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higher income. Conclusions: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RI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sure of stress for research in stress-related fields. It is suggested that depressive disorder group is more susceptible to stress than any other patient groups.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