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 보호자와 형제 자매에서의 부담에 대한 연구

Family Burden of Schizophrenics i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 53

연구목적: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9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 보호자 92명과 그들의 형제 자매 68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척도를 사용하 여 가족부담, 환자의 문제행동, 가족의 죄책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양성증상 행동과 음성증상 행동, 환자의 임상적·사회인구학적 변인, 주 보호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그리고 가족의 죄책감 등이 주 보 호자 및 형제 자매의 주관적·객관적 부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결 과: 1)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에서 주 보호자군이 형제 자매군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양군간 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사회인구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환자의 연령, 유병기간, 총 입원기간이 주 보호자 또는 형제 자매의 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주 보호자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들 중에서는 매달 수입 정도와 가족교육 여부가 주 보호자의 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3) 문제행동들을 양성증상, 음성증상, 기타증상으로 분류한 후 주 보호자 및 형제 자매의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을 검증한 결과, 양군 모두에서 3가지 증상 행동이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과 각각 유 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양군에서 양성증상 행동과 음성증상 행동이 객관적 부담보다는 주관적 부담과 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또 형제 자매의 경우에는 양성증상 행동이 음성증상 행동에 비해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과의 상관성이 더 높았다. 4) 죄책감과 부담간의 상관성에서는 주 보호자에서만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가족중재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amily burdens of schizophrenics, 92 primary caregivers and 68 siblings of 92 persons with schizophrenia were examined by means of self-report scales about the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behaviors,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guilty feelings toward patient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scores betwee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even though the former showed a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latter. 2) Burden scor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actors such as age of patients, duration of illness, total duration of hospitalizations, monthly family income, and the experience of family education in the primary caregivers or siblings of schizophrenics. 3)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were related to both the severity of positive, negative, and the other symptom behaviors i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behaviors were more related to subjective burdens compared to objective burdens in the primary caregivers and siblings. The positive symptom behaviors were more related to perceived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s compared to negative symptom behaviors in the siblings. 4) The correlations between guilty feelings toward patient and burden scores was significant only in the primary caregiver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useful datas to develop the more effective family intervention for reducing family burden.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