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의 가정역동적 환경평가측정 도구개발

Development of Instrument for Assess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al Function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 17

연구목적: 청소년 비행 및 범법행동의 유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가정역동적 환경을 사정하기 위한 측 정도구 개발연구이다. 방 법: 서울 및 지방의 소아·청소년정신과 외래 방문 청소년 4명과 중·고교에 재학중인 학생청소년 4명, 분류심사 원 및 소년원에 재소중인 비행청소년 4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인면담내용과 관련문헌 고찰을 근거 로 부친의 양육방식, 모친의 양육방식, 가정안정도, 부모-자녀관계, 가정만족도, 가족원과의 관계 및 모친의 사 회활동등 7개 영역의 총 50개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도구를 작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본 예비도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는데, 도구의 타당도 검증은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와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은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내적 일관성 정도 및 각 문항과 요인과의 상관계수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검증과정을 통하여 8개 문항을 제외시킨 42개 문항을 청소년의 가정역동적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최종도구로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상황에서의 최종도구의 변별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 총 2,177명을 대상으로 본 도구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t 검정을 하였다. 결 과: 1) 최종확정된 문항은 총42개 문항 5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인들의 총 설명변량은 50.3% 이었다. 또한 42개 문항은 모두 각 요인에 .35 이상의 유의한 적재량을 보였다. 2) 5개 요인중 요인Ⅰ은 가정의 심리적 풍토로 명명하였으며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인Ⅱ는 부 모-자녀관계로 총 7개 문항, 요인Ⅲ은 부친의 양육방식으로 총 6개문항, 요인Ⅳ는 가정의 안정도로 총 7개 문항, 그리고 요인Ⅴ는 모친의 양육방식으로 총 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본 도구의 총 42개 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 Coefficient Alpha값이 .947이었으며 각 요인별 신뢰 도는 요인Ⅰ이 .922, 요인Ⅱ가 .807, 요인Ⅲ이 .815, 요인Ⅳ가 .777 그리고 요인Ⅴ는 .709이었다. 4) 본 도구의 변별력을 확인하기 위해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인별 차이검정결과 요인Ⅰ, 요인Ⅱ, 요인Ⅲ, 요인Ⅳ, 요인Ⅴ 및 전체문항 모두에서 학생청소년군과 비행청소년군간에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결 론: 1)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를 다른 대상자에게도 반복적용하여 연구함으로써 계속적인 신뢰도와 타당 도검증이 필요하다. 2) 이상적인 도구평가 기준은 신뢰도와 타당도 뿐만 아니라 단순성, 동등성, 효율성, 객관성 등까지도 고려 되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본 도구는 계속적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통하여 측정오차를 최 대한으로 줄인 보다 실제에 근접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된다.

Objective:The importance of the family dynamic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is expanded by evidence that the childs problem behavior within the family generalizes to the delinquent behavior with peers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ssess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functioning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Methods: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research for developing a family dynamic environment scale related to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 review and individual interview using open-ended questions with adolescents in school, outpatient basis and juvenile corrective institution, the authors developed pre-questionnaire with 50 items for measur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functioning.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Cronbach’s α and factor analysis for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questionnaire and t-test for mean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using SAS program.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177 adolescents including 1,206 students and 971 delinquent adolescents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Results:1)Five stable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se contributed 50.3%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ore. All 42 items loaded above .35 on each factor. 2)FactorⅠwas named as family psychological climate(17 items), factor Ⅱ as parent-child relationship( 7 items), factor Ⅲ as paternal parenting attitude(6 items), factor Ⅳ as family stability(7 items), and factor Ⅴ as maternal parenting attitude(5 items). 3)Comparison of these 5 factors between student adolescents and delinquent adolesc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Ⅰ[t=-4.28(student), -4.29(delinquent), p=.0000], factor Ⅱ[t=-8.61(student), -8.86(delinquent), p=.0001], factor Ⅲ[t=-2.52(student), -2.50(delinquent), p=.0118], factor Ⅳ[t=-13.59(student), -13.66(delinquent), p=.0000], factor Ⅴ[t=-4. 18 (student), -4.16(delinquent), p=.0000], and total score[t=-6.20(student), -6.21(delinquent), p=.0000]. 4)Cronbach’s alpha coefficiency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947 for total 42 items and .922, .807, .815, .777 and .709 for each 5 factors of family dynamic environment factors related to delinquent behavior. Conclusions:The authors concluded that this scale has a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measur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of the Korean adolescents. While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are essential parts for measuring instrument,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efficiency, simplicity, objectivity, comprehensibility, and others may also be important factor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for develop an ideal measuring instrument.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