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뇌량 면적 측정

Measurement of Corpus Callosal Area in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에 뇌량이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초발 및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대조군의 뇌량의 영역을 측정하였다. 방 법: 국립의료원에 입원한 2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남자 15명, 여자 8명)와 단순 두통 또는 어지럼증을 호소하여 내원한 23명의 외래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뇌자기공명영상을 얻었으며, 남자는 26명, 여자는 20명 이었다. 환 자군중 초발군은 13명, 만성군은 10명이었다. 정중시상평면에서 뇌량을 7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NIH Image 1.6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정중시상평면의 대뇌면적도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 뇌량척도들은 t-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이후 대뇌면적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를 시행하였다. 또한 초발군과 만성환자군, 대조군의 비교는 나이와 대뇌면적을 공변량으로하여 MANCOVA를 시행하였다. 결 과: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총뇌량의 평균면적과 각 7부분의 평균면적을 비교한 결과 환자군이 제3, 제6뇌량영 역을 제외하곤 대조군에 비해 평균면적이 작은 것으로 나왔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남자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작고, 여자환자의 경우에는 큰것으로 확인 됐다. 초발과 만성환자군으로 나누어 대조군과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초발환자군이 만성환 자군에 비해 모든 뇌량척도가 작았고, 만성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총뇌량의 평균면적이 컸으나 초발군은 대조군 보다 작았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유의한 뇌량의 형태적 이상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이전 연구들에서도 다양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정신분열병이 생물학적 및 임상적으로 각기 다른 표현형을 가지고 있다 는 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

Objectives: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rpus callosum is involved in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and measured corpus callosal areas of first episod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controls. Methods:We obtained th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23 schizophrenic inpatients(15 males, 8 females) and 23 controls(11 males, 12 females) with simple headache or dizziness. Among the schizophrenic group, first episode patients were 13, chronic patients were 10. In mid-sagittal plane, the corpus callosum was divided into 7 areas and the cerebral area was measured. This data was analyzed with NIH image 1.60 software. We compared the corpus callosal areas of schizophrenics with controls by t-test and by ANOVA according to sex. Thereafter, ANCOVA was performed with mid-sagittal cerebral area as covariant. Comparison of first episode, chronic schizophrenics and controls was carried out by MANCOVA that was adjusted with age and mid-sagittal cerebral area. Results:The schizophrenics, compared with controls, had smaller corpus callosal areas except for the 3rd, 6th callosal area,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bsent. According to sex, male schizophrenics had insignificantly smaller total callosal areas than male controls and female schizophrenics had larger ones. In comparision of first episod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controls, first episode patients had smaller every corpus callosal areas than chronic ones, chronic ones had larger total callosal area than controls and first episode ones had smaller total area than controls, but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absent also. Conclusion:Our study did not reveal the structural abnormality of corpus callosum in schizophrenic patients, but many controversi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tudies. This inter-study inconsistency could be explained by the hypotheses of not only clinical but also biological different phenotypes within the schizophrenia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