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세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과적 상황과 이에 걸맞는 정신의학의 모습을 그려 보았다. 이런 모든 문제에 미리 대처하기 위해서는 결국 교육의 문제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본다. 기성 전문의에 대한 교육도 필요하 겠으나 무엇보다 전공의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내용에서 그리고 실제 임상장면에서 다음 시대에 성공적으로 이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자질과 자세를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겠다.
In this review article, the author tried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sychiatric popul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a new century in Korea. Accordingly the desirable attitude of psychiatrists and the scope of psychiatry were suggested. As problem areas, problems of adolescence, senility, family, stragglers, quasi-religion, community mental health and transcultural practice were predicted. As psychiatrists scopes to be accomplished, subspecialty in practice, community-based approach, cooperation with parapsychiatric and religious personnels, transcultural approach in practice, accomplishment of desirable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 were suggested. Finally, psychiatric education suitable for the future society was emphacized for the better contribution.
머 리 말
21세기의 정신과적 상황
21세기 정신의학의 주체성 문제
참 고 문 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