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 875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성 우울증의 선별 검사도구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Geriatric Deression Scale(GDS) 및 축약형 GDS(SGDS)가 우리나라에서도 타당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것 이다. 방 법: 3차례의 예비연구 과정을 거쳐서 우울증 선별 검사도구인 한국판 GDS을 제작한 후에, 88명의 임상환자군 을 대상으로 한국판 GD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주요우울증의 선별을 위한 최적절단점 추정, ROC커브 를 이용한 진단적 타당성 분석을 하였으며, 15문항의 한국판 SGDS에 대한 표준화 연구도 아울러 진행하 였다. 결 과: 1) 한국판 GDS는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우리나라에서 이미 표준화되어 사용되어 온 HRS-D, CES-D 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공시타당도가 증명되었다. 또한 주요우울증군과 비주요우울증군의 2군으로 임상환자군을 나누었을 때, 한국판 GDS 각 문항의 평균점수 및 총점이 두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므로서 내용타당도 및 감별타당도가 입증이 되어졌다. 2) DSM-III-R의 주요우울증 진단에 대한 예민도, 특이도, Kappa치를 이용하여 주요우울증 선별을 위한 한국판 GDS의 최적 절단점으로 17점을 선정하였으며 이는 ROC커브에서 제시하는 점수 19점과 차이가 있으 나 주요우울증 진단의 1차 선별을 위한 목적에 따라 예민도를 90%이상 유지하는 17점을 최적 절단점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ROC커브분석법에서 각 선별도구의 AUC을 비교함으로서 진단도구의 수행능력을 평가하였 는데 한국판 GDS가 기존의 우울증 선별도구의 진단 수행능력에 비해 손색이 없는 유용한 진단 능력을 보여 주었다. 3) 한국판 SGDS는 한국판 GDS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내적일치도, 공시타당도, 내용타당도, 감별 타당도가 훌륭하였으며 AUC가 한국판 GDS와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음으로서 한국판 GDS의 대용으로 한국 판 SGDS의 사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였다. 한국판 SGDS의 주요우울증 선별을 위한 최적 절단점은 8점으로 선 정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임상환자군을 대상으로한 한국판 GDS와 SGDS의 타당도, 진단수행능력을 평가함으로서, 임상환자군에 대한 주요우울증의 1차 선별 진단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고, 향후 에 지역사회 일반노인군을 대상으로 하는 우울증상의 1차 선별을 위한 후속연구가 진행이 된다면 임상환 자군과 지역사회 일반노인군 모두를 대상으로 적절한 우울증 선별도구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

Objectives:The authors attempt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for screening geriatric DSM-III-R major depression among clinical populations. Methods:Through of preliminary trials 3 times, the authors translated GDS including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into Korean. GDS, SGDS, HRS-D, CES-D was adminis-tered to 88 elderly psychiatric patients(35 major depressives, 51 were non-major depression) and also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DIS-III-R) was administered independently to diagnoses DSM-III-R major depres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5, optimal cut-off point estimation, and ROC curve analysis were done to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idity of GDS and SGDS. Results:Internal consistency-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GDS, SGDS associated with other depression scales(HRS-D, CES-D) were excellent. Cont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hich differentiate DSM-III-R major depression from non-major depression was also good. The authors suggest the score ‘17’ as the optimal cut-off point of GDS for screening DSM-III-R major depression among clinical populations and the score ‘8’ as optimal cut-off score of SGDS. ROC curve analysis revealed wide AUC of both GDS and SGDS, which indicates its high diagnostic validity in assessing DSM-III-R major depression. The GDS and SGDS were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r=0.9594) and any difference of AUC between both scales in ROC curve analysis were not found. This finding suggests that SGDS can be an adequate substitute for GDS. Conclusion:The GDS and SGDS are valid and reliable case finding tools for screening DSM-IIIR major depression among clinical populations in Korea but relatively high cut-off point demands the further evaluation in the viewpoint of culturally determined style of response for the depression questionnaire in Korea.

서 론

연 구 방 법

연 구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