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인불안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of Social Anxiety and Socio-Cultural Factors

  • 159

연구목적: 한국 일반인들에 대한 사회공포 증상의 정도와 양상, 기능의 손상 정도 등을 알아보고, 대인불안과 성격특징, 부모의 양육태도, 대인관계에서의 특징들간의 상관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및 성인 1087명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사회적 상황에서 의 불안과 회피 정도, 증상과 상황, 대처방법, 가해의식, 일상생활에의 영향을 조사하였고, 내-외향성 검사, 부 모양육태도 검사와 대인관계태도 검사를 이용하여 대인불안과 관련된 성격과 사회적인 요인을 평가하였다. 결 과: 대인불안 증상은 정시곤란, 실수공포, 표정공포, 횡시공포, 타인시선공포가 전 연령에 걸쳐 높게 나타났다. 청 소년기에는 전반적으로 대인상황에 대한 불안 수준이 올라가 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남자가 여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정도의 대인불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의식은 성인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대인불안의 상황은 모든 연령에서 연단이나 면접상황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대 처방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그럴 수 있다’는 건강한 대처방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향성에 대한 자신의 평가와 타인의 평가를 비교해보면, 모든 연령집단에서 타인이 평가하는 것 보다는 자신이 스스로를 더 내성적인 것으로 생각하였다. 양육태도의 경우에는, 아버지나 어머니 모두, 거부나, 높은 기대, 불안, 통제적인 태도는 대인불안이 높은 것과 관련되어 있는 반면에 감정적인 지지를 나타내는 태도는 낮은 대인불안 과 관련되어 있었다. 대인관계태도에서 자기비하나, 은근성, 타인의 의견을 지나치게 염려하는 태도, 체면 등은 모두 대인불안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사교성이나 응석은 대인불안과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 타났다. 결 론: 대인불안의 정도, 내향성, 대인불안 및 회피 정도와 일상생활에서의 지장 정도간에 서로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대인불안의 정도와 내향성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에의 지장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부모의 양육 태도에서는 거부, 높은 기대, 불안, 통제적 태도 등이, 대인관계태도에서는 자기비하, 은근성, 타인의견 염려, 체면 등이 대인불안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We examined the degree of social anxiety and physical symptoms, situations, maneuvers in phobic situations, the degree of offending others, disability in normal Korean sample. And We also studied the correlations of social anxiety and socio-cultural factors(personality characteristic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ttitudes). Methods:The subjects were total of 1087 includ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and adult population living in Seoul. We administered the following scales:SA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ocial Anxiety Symptom and Situation, Maneuvers in Phobic situations, Offending others, SDS(Sheehan’s Disability Scale), EPQ(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Child Rearing Scale and Interpersonal Attitude Scale. Results:Among social phobic symptoms, fear of eye to eye contact, fear of mistake, fear of facial expression, fear of side glancing and fear of other’s gazing were prevalent in decreasing order. The level of general social anxiety were high in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le subjects reported more social anxiety. The degree of offending others decreased with age. The most difficult social anxiety situations were public speaking and interviewing. The frequently used maneuver in phobic situations was reasoning. All subjects perceived themselves more introverted than others did. On the child rearing attitudes, rejection, high expectation, anxious, control subscales of both parent were correlated with high level of social anxiety, and the emotional care was correlated with low level of social anxiety. On the interpersonal attitudes, self-devaluation, indirectedness, overconcern of other’s opinion, face-saving subsca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nd the socialization and eungseok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Conclusion:The social anxiety and the introversion were associated with the disability of daily activity. Some subscales of child rear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ttitudes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social anxiety.

서 론

연 구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