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청각 인식유발전위와 임상적 호전의 연관성에 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Report on the Correlation of Auditory Cognitive Evoked Potential and Clinical Improvement in Schizophrenics

  •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알아보려는 노력으로 시행되었다. 방 법: 연구대상은 정신과 진단편람 제4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Ⅳ)의 정신 분열증 진단기준을 만족시키는 23명의 입원환자였다. 치료 전 또는 치료 초기에 청각 인식유발전위를 시행하였 으며 임상증상의 변화는 치료 전과 치료 4주 후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1) 양성척도의 호전정도는 P1과 N1의 잠복기와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보이고, P3 잠복기, P2의 전위와는 유의한 역 상관관계에 있었다. 2) 음성척도의 호전정도는 P3 잠복기와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일반정신병리척도의 호전도 또한 P3 잠복기와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이러한 결과는 치료전 실시한 청각 인식유발인자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임상적 호전의 예측인자로서 가 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uditory cognitive evoked potential and the clinical improvement in schizophrenics. Method:The subjects were 23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uditory cognitive evoked potential was examined at pretreatment or the acute phase of treatment. The change of symptom was assessed by the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before drug treatment and in the 4th week of treatment.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of positive subsca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1 latency(p<.05), N1 latency (p<.05)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3 latency(p<.05), P2 amplitude(p<.05). 2) The change of negative subsca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3 latency(p<.05). 3) The change of general psychopathology subscal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3 latency(<.05). Conclusions: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uditory cognitive evoked potential in schizophrenic patients could be valuable on prediction of clinical improvement. Bu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upport these results.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