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목 적: 본 연구는 인지재활이 강화된 통합심리치료를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시행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고 시행상 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활을 위한 한국형 통합심치료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 었다. 방 법: 정신분열병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인지분화, 사회지각, 언어소통, 사회기술, 문제해결기술의 5단계로 구성된 통합심리치료를 12주간 주3회 실시하였고 치료 전후에 저자들이 개발한 인지분화평가척도, 사회기술평가척 도, 문제해결기술척도와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로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집단내의 상호 작용과 사회적 관심과 같은 비특이적인 간섭변인을 배제하기 위하여 정신건강교육에 의한 관심-위약 대조 군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통합심리치료를 시행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일반정신병리점수와 임상증상 총점수의 유의미한 호전이 있었 고 인지기능의 호전은 인지분화 소프로그램후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사회기술 소프로그램후의 사회기술기능은 제한적 효과만 있었다. 그러나 통합심리치료 시행군내에서는 12주후 양성증상, 음성증상, 일반정신병리 모두 에서 호전되었다. 결 론: 본 결과는 통합심리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임상 증상 영역의 치료효과가 있음을 지지하지만 인지영 역 훈련이 갖는 특정 효과는 보여주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치료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이고도 언어적인 배경 의 차이, 치료기간, 집단구성원의 기능 동질화, 정서 처리, 인지영역 훈련에 대한 치료자의 숙련도 등의 시행 상의 문제가 있어 우리나라 환자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통합심리치료 원저의 수정이 요구된다
Objectives:This study, as a preliminary one attempting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Integrated Therapy for the rehabilitation of schizophrenic patients,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Integrated Psychological Therapy(IPT) and review the problems during the program application. Methods:Cognitive Differentiation Scale, Problem-Solving Scale, and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were administered to schizophrenic inpatients before and after IPT incorporating cognitive differentiation, social perception, verbal communication, social skill and interpersonal problem-solving skill subprograms. The therapy groups were offered activities three times per week during the 12-week program. The control groups were attention-placebo groups for control ling factors such as group interaction and social attention, and were offered psychoeducation. Results:The 12-week IPT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general psychopathology and the total symptoms of PANSS, but did not in cognitive functions and problem-solving skil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gnitive functions were found only after cognitive differentiation subprogram and social skill subprogram had limited effects on social skills. But within 12-week IPT group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positive symptoms, negative symptom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were found. Conclusion:These findings support some effectiveness of IPT, but do not address the unique contribution by cognitive components. Applied to schizophrenic patients in this country, this modality had the problems such as differences in sociocultural and lingual background, duration of treatment, homogeneity in the level of the functioning among group members, management of emotions in activities, and the therapists skill in the training of cognitive components. So the modification of this modality will be required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9)
- 간이지능평가 도구로서의 전산화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의 타당도 검증 및 임상적용에 관한 연구
- 중년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 및 폐경기 증상
-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통합심리치료의 효과
-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효과
-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식과 정신병리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개념형성훈련이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 수행 능력에 미치는 장기효과
- 전통 한국사회의 에디푸스 콤플렉스:에디푸스 주제 및 에디푸스 이전기 주제
- 폐 기능 검사에 의뢰된 환자에서의 공황발작의 빈도와 특성
- 기독교 신앙이 외래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 항정신병약물 비노출과 비투여 정신분열증 환자의 99m-Tc-ECD SPECT로 측정한 상대적 뇌혈류량 차이
- 기분장애와 출생계절의 관련성
-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 Cognitrone의 표준화 예비연구
- 품행장애 청소년의 특징적인 인지 및 대뇌 기능
- 정신분열병 환자의 종교성향과 망상에 나타난 박해자
- 遠志가 Apomorphine으로 유발된 생쥐의 상동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정신병 환자의 통합치료를 위한 낮병원 모델의 효과성 연구 - 1년 반 동안의 전향적 추적 연구 -
- 도시 지역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MMSE(MMSE-K)의 진단적 타당성 조사와 정신병리 평가
- 한국판 학습장애 평가척도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 한 도시 지역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간의 정신병리에 대한 비교 연구
-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의 인지기능과 양성자 자기공명분광 소견과의 상관관계
- 치료불응성 정신분열증에 대한 Risperidone의 치료효과에 관한 Haloperidol과의 비교연구
- 화상환자의 심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
- ‘가족 적응력 및 결속력 평가척도 한국어판’의 표준화 예비연구-신뢰도 및 타당도
- 홧병의 증상
- 청소년의 자아상 발달에 대한 횡문화적 비교 연구
- 정신분열병 치료효과에 대한 신경인지기능의 예측력에 관한 연구
-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알코올의존 고의심군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위험요인 분석 - 전국적 확률표본을 대상으로 -
- 재가 치매 노인의 부양 부담과 정신병리 및 부양자의 사회적 서비스 욕구와의 관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