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 Cognitrone의 표준화 예비연구

Preliminary Standardization of Cognitrone, a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in Korean Adults

  • 27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집 Vienna Test System에 포함된 Cognitrone 검사의 한국 인 성인 표준자료를 확립하는 것이다. Cognitrone 검사는 시지각 분석능력의 평가를 위주로 하며, 지속적 주 의력, 시각적 즉각기억력, 정보처리 속도 등을 반영하는 복합적 과제이다. 방 법: 18세 이상의 남녀 정상인 자원자 353명을 대상으로 Cognitrone 검사를 시행하였다. 채점 항목은 전체 정 반응 수, 있음으로 대답한 정반응 수, 없음으로 대답한 정반응 수, 있음으로 대답한 정반응의 평균 반응시간, 없음으로 대답한 정반응의 평균 반응시간 등 5개 항목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군을 성별, 연령 및 학력에 근 거하여 여러 개의 소집단으로 구분한 후, 성적이 유사한 집단들은 서로 합쳐서 표준자료를 산출하였으며, 충 분한 사례수가 확보되지 않은 집단은 산출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정반응 수와 관련된 3개 변수에 대해서는 18∼50세 고졸이상 남녀 대상군 240명에 대한 단일 표준자료 가 산출되었다. 두 가지 반응시간 변수에 대해서는 고졸이상의 남녀 대상군을 18∼30세, 31∼50세의 두 집 단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한 표준자료가 산출되었다. 결 론: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인 Cognitrone 검사의 한국인 성인 표준자료가 제시되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국내 임상과 연구에서 Cognitrone 검사가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Cognitrone Test is one of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tests included in Vienna Test System. It assesses the ability of visuoperceptual analysis, continuous attention and the speed of information-processing. The present study aims at presenting the normative data of Korean adults for Cognitrone Test. Methods:Cognitrone Test was administered to 353 healthy Korean volunteers aged 18 years and over. Number of correct responses, number of ccorrect Yes-responses, numberof correct No-responses, mean time of correct Yes-responses, and mean time of correct No-responses were measured in each individual. Initially the subjects were subgrouped by sex, age and educational level. And the subgroups showing similar levels of functioning were put together and analyzed as a larger unitary group. The subgroups without enough number of case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Results:Summary scores for five variables of Cognitrone Test were given in the form of percentile and T-score distribution. For three variables representing the correctness of responses, normative data of unitary group(aged 18 to 50 years & educated more than 12 years) were presented. For two variables representing the speed of information processing, normative data of two groups (one;aged 18 to 30 years & educated more than 12 years, the other;aged 31 to 50 years & educated more than 12 years) were presented. Conclusions:The normative data of Cognitrone Test presented would be very useful in both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