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응급실로 내원한 자살 시도자의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와 자살 심각도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 and Suicide Severity in Suicide Attempters Admitted to an Emergency Room

  • 5

연구목적: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 혹은 이의 치료가 자살, 폭력적 행동, 그리고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는 역학 적, 임상적 보고들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살시도후 응급실로 내원한 정신과 환자의 혈중 콜레 스테롤 농도가 자살시도가 없었던 정신과 입원환자 혹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되어 있는지, 둘째, 진단 별로 분류하였을 때 우울증, 정신분열증, 인격장애 환자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셋째, 자살 심각도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 법: 1994년 1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자살시도후 응급실로 내원한 정신과 환자 102명을 연구대상군으로 하였으며, 동 기간에 본원 정신과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자살시도가 없었던 환자 중 대상군과 나이, 성별, 진단을 일치시킨 102명의 환자대조군과 무작위로 102명의 정상 대조군을 선택하였다. 자살시도자는 자 살의 심각도에 따라 5단계군으로 분류하였다.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효소법에 의한 자동분석기로 측정 되었다. 결 과: 자살시도 환자군이 자살시도가 없었던 환자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진단적으로 구분해서 살펴보면, 우울증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정신분열병과 인 격장애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낮은 콜레스테롤 농도는 자살시도의 심각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 타내었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가 자살시도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이전의 주장들을 지지해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이러한 관련성이 정신분열병이나 인격장애에서는 없었으나, 우울증에서만 있었다. 이는 낮은 콜레스테롤 농도와 자살행동사이의 연관성이 우울증에서 보이는 생물학적 기전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 을 제기하고 있다. 우울증에서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는 세로토닌, 인터루킨-2 그리고 멜라토닌 대사와 관 련될 수 있다

Objectives:Epidemiological and clin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low cholesterol levels or clinical trials to reduce cholesterol concentrations may be associated with suicide, violent behavior or depress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d i) whether suicidal psychiatric patients is characterized by decreased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ii)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 of cholesterol levels might be present according to the psychiatric diagnosis, and iii) whether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uicide severity and cholesterol levels might be present. Method:The subjects were 102 psychiatric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emergency ward following an attempted suicid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94 to July 1997 and 102 age, and sex matched psychiatric controls who were consecutively admitted to a psychiatric ward during the same period, and 102 age, sex matched healthy normal controls. The suicide attempters were divided into 5 grades according to the suicide severity.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a enzymatic method. Results:The serum cholesterol level in suicidal attempt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both psychiatric and normal controls. Thi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attempt and low cholesterol level was observed only in depressive patients, but not in schizophrenics or personality disorder patients. Low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the suicide. Conclusions:These results support the previous finding that low cholesterol level might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suicide. The fact tha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observed only in depressive disorder, but not in schizophrenia or personality disorder raises the possibility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low serum cholesterol and suicidal behavior may have relevance to biological mechanisms in depression. It is hypothesized that low cholesterol levels would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by modifying the serotonin,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2 and melatonin metabolism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연 구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