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항우울제 장기 투여에 의한 흰쥐 해마에서 PhosphoCREB의 발현 증가

Chronic Antidepressant Administration Increases the Expression of PhosphoCREB (Phosphorylated Cyclic 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in Rat Hippocampus

목 적: 저자들은 paroxetine(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desipramine(selective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moclobemide(reversible monoamine oxidase inhibitor)의 항우울제를 흰쥐에 장기 투여한 후 해마에서 phosphoCREB의 발현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항정신병약물, 항불안제 및 control을 장기 투여하였을 때의 발현정도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실험동물로는 체중 200∼300g의 Sprague-Dawley 수컷 흰쥐 240마리를 사용하였고, paroxetine 투여군, desipramine 투여군, moclobemide 투여군, haloperidol 투여군, lorazepam 투여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약물을 1일간, 3일간, 7일간, 14일간 각각 하루 한차례씩 복강내 주입을 하였다. 흰쥐는 마지막 투약 15분후에 대 뇌를 적출하였고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해마에서 발현되는 phosphoCREB(+) 신경원 수를 측정하였다. 결 과: 항우울제인 moclobemide 투여군에서 3일째부터 phosphoCREB의 발현을 증가시켜 7일째와 14일째 모 두 증가되었고 paroxetine 투여군과 desipramine 투여군도 7일째와 14일째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항 우울제가 아닌 약물을 투여한 군(lorazepam 투여군과 haloperidol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투여 기간에 따른 phosphoCREB의 증가는 없었다. 결 론: 다양한 항우울제의 장기 투여는 항정신병약물과 항불안제의 장기 투여와 비교하면 모두 해마에서 phosphoCREB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는 다른 약제와 구별되는 항우울제만의 특이한 공통적 약물작용기전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xpression of phosphoCREB in rat hippocampus after chronic administration of various antidepressants in comparison with chronic administration of antipsychotic and antianxiety drugs. Methods:Male Sprague-Dawley rats(200-300g)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according to specific treatment agents(paroxetine, desipramine, moclobemide, haloperidol, lorazepam, vehicle) which were administered daily for 1day, 3days, 7days, and 14days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respectively. Brains were removed 15 minutes after the last treatment. PhosphoCREB immunoreactivity was measured by phosphoCREB(+) cell counts in hippocampus of rats. Results:Expression of phosphoCRE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day 3 in moclobemide group, from day 7 in paroxetine and desipramine groups, and increased most significantly from day 14 in all antidepressant-administered groups, with no increase in other two groups(lorazepam and haloperidol groups) throughout the experiment and even after 14 days of treatment. Conclusion:These result suggest that increased expression of phosphoCREB after chronic administration of antidepressants, not of antipsychotic or antianxiety drugs, demonstrates pharmacological specificity of antidepressant treatment in rat hippocampus regardless of their receptor preference.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