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zapine은 추체외로 증상과 지연성 운동장애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로서 치료저항 성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약 1%에서 경련이 발생하는 것과 비교해서 clozapine을 투여받는 환자들은 경련의 발생 비율이 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경련은 clozapine의 투여에 의해 점차적으로 경련의 역치가 낮아져 발생하게 되므로 clozapine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련의 발생 비율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왔다.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clozapine을 투여하던 중 이전의 보고들과는 달리 저용량에서 전신성 경 련이 발생한 환자 4례를 경험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경련이 clozapine을 증량하여 투여한 직후에 발생하였 기 때문에, 약물의 용량보다는 clozapine 투여 후에 혈중 clozapine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에 기인한 것 으로 생각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 저자들은 치료 저항성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clozapine을 투여할 경우 고용량 투여, 급격 한 증량에 주의한다면 경련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Clozapine is an atypical antipsychotics that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with refractory schizophrenia and those with intolerance to currently available antipsychotics. It also appears to be less likely to cause extrapyramidal symptoms and tardive dyskinesia. But clozapine has been associated with an unusual high incidence of seizures in patients with no previous history of ictal episodes. Seizures occur in approximately 1% of patients treated with antipsychotic drugs. But the prevalence is higher with clozapine. Clozapine-induced seizures are reported to occur in a dose-related manner by progressively lowering the seizure threshold on most all patients as the dose is increased. But seizure does not usually necessitate discontinuation of clozapine treatment. We experienced four cases of seizure induced by low doses of clozapine treatment in schizophrenic patients. Since most of the seizures have occured soon after increase of a clozapine dose, they may have been related more to rapid increase in blood clozapine levels than to that of dose. It is also possible that dose did not accurately predict blood levels for these patients. The possibility of seizures should not pose a barrier to clozapin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refractory psychotic disorders. The risks and morbidity of seizures can be minimized through attention to clinical management.
서 론
증 례
고 찰
참 고 문 헌